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貞元] 14년(A.D.798; 渤海 康王 4)에
○ [貞元] 14년(A.D.798; 渤海 康王 4)에 銀靑光祿大夫註 375 檢校司空註 376을 加授하고, 渤海國王으로 進封하였다. 嵩璘의 아버지 欽茂는 開元 연간(A.D.713~741; 渤海 高王 15~文王 5)에 아버지 位를 세습하여 郡王 및 左金吾大將軍註 377이 되고, 天寶 연간(A.D.742~755; 渤海 文王 6~19)에는 누차에 걸쳐 特進註 378 太子詹事 賓客註 379이 加授되었으며, 寶應 원년(A.D.762; 渤海 文王 26)에 國王에 進封되고, 大曆 연간 (A.D.766~779; 渤海 文王 30~43)에는 계속하여 司空 太尉註 380를 더 除拜하였다. 嵩璘이 襲位할 적에 다만 郡王과 將軍만을 除授하자, 嵩璘이 使臣을 보내어 도리상 [그럴 수 없음을] 피력하므로, 다시 冊命을 더 내렸다.
11월에 王의 조카 大能信을 左驍衛中郞將註 381 虜侯 婁蕃長으로 삼고, 都督 茹富仇를 右武衛將軍註 382으로 삼아 放還하였다.
[貞元] 21년(A.D.805; 渤海 康王 11)에 使臣을 보내와 朝貢하였다. 順宗은 嵩璘에게 金紫光祿大夫註 383 檢校司空을 加授하였다.
註) 375
從三品의 文官으로서 職責을 가지지 않은 散官이다.(『舊唐書』卷42 「職官志」從第三品條 참조).
바로가기
註) 376
司空은 太尉·司徒와 더불어 唐代에는 三公으로 불리어졌다. 正一品職이나 『唐六典』에
三公論道之官也 蓋以佐天子 理陰陽 平邦國 無所不統 故不以一職名其官 然周漢以來 代存其任自隋文帝 罷三公府僚 皇朝因之 其或親王拜者 但存其名位耳
라고 하는 바와 같이 名義는 있으나 실제로는 어떤 구체적인 職責이 없었다.
한편 檢校는 여러 가지 語意를 지니고 있으나, 官名위에 붙은 경우 이른바 加銜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즉, 그의 正官 또는 品階보다 높여 그 品級을 승진시키는 의미로 쓰여졌다.
바로가기
註) 377
唐代의 正第三品 武班職事官이다(『舊唐書』卷42 「職官志」正第三品條 참조).
바로가기
註) 378
官名이다. 漢帝國의 制度에서 諸侯·王公·將軍으로서 탁월한 功績이 있는 者에게 朝廷에서 특별히 우대하는 者에게 除授하였다. 그 地位는 三公의 아래이었는데 이 官名은 南北朝時代에도 그대로 사용되었으며, 소위 加官이라고 하였다.
隋·唐代에는 散官이 되었으며 唐代에는 正三品의 예우를 받았다(『唐六典』卷2 참조).
바로가기
註) 379
太子詹事府의 長이며 正三品官이다. 그 職務는 ‘三寺十率府之政令 擧其紀綱而其職務’이었으며, 正四品上의 小詹事가 이를 補佐하였다.
한편 太子賓客은 그 職責이 ‘掌侍從·規諫·禮儀而先後焉 凡皇太子有賓客 宴會則爲之上齒’였다고 한다(『唐六典』卷26 참조).
바로가기
註) 380
司徒·司空과 더불어 三公이며, 唐代에는 正一品官이었다. 隋代부터 府僚를 두었으며, 그 府僚의 위치는 尙書省의 위였다. 唐 高祖의 武德 年間(618~626) 初에는 秦王이 이를 兼하였고, 高宗의 永徽 年間(650~655)에는 長孫無忌가 除授되었던 바 있었다. 그러나 그 후에는 親王이 三公을 拜하여 모두 政務는 보지 않았다(『唐六典』卷1 참조).
바로가기
註) 381
唐의 武將名이다. 隋 以前에는 ‘驍騎’라 칭하였다가 ‘騎’를 ‘衛’로 고쳐 ‘驍衛’라 하게 되었다.
宮庭內의 警衛와 儀仗에 종사하였던 것이며, 大朝會時에는 黃旗隊와 胡祿隊로서 廊下의 東西에 坐하였고, 御坐正殿前에 있어서는 그 隊仗은 左右衛의 아래쪽에 서 있었다. 中郞將은 四品下의 階品이었다(『舊唐書』卷44 「職官志」武官 左右驍衛條 참조).
바로가기
註) 382
唐의 武職名이다. 그 職務는 左右衛將軍·左右驍衛將軍과 같다. 大朝會時에는 白鎧甲을 입고 白器楣 및 旗로서 뒤따랐으며, 儀仗이 正殿前에 있을 때는 諸隊는 左右驍衛의 아래쪽에 자리잡았다. 大將軍 1 名이 正三品이며 將軍 2人은 從三品이었다.(『舊唐書』卷44 「職官志」武官 左右武衛條 참조).
바로가기
註) 383
兩漢時代의 光祿大夫에서 비롯된 官名이며, 隋代에 이르러 煬帝가 從二品의 散官으로 하였던 것을 唐代에는 正三品의 文班散官으로 하였다.
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왕실>국왕>즉위·책봉
  • 정치>외교>사신>유형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중국정사조선전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