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헌창이 반란을 일으키다 ( 822년 03월 )
〔14년(822)〕 3월에 웅천주(熊川州)註 001 도독(都督)註 002 헌창(憲昌)註 003이 아버지 주원(周元)註 004이 왕이 되지 못한 것에 불만을 가지고 반란을 일으켰는데,註 005 나라 이름을 장안(長安)이라 하고 연호를 만들어 경운(慶雲) 원년이라 하였다. 무진주(武珍州),註 006 완산주(完山州),註 007 청주(菁州),註 008 사벌주(沙伐州)註 009 네 주의 도독과 국원경(國原京),註 010 서원경(西原京),註 011 금관경(金官京)註 012의 사신(仕臣)註 013 및 여러 군현(郡縣)의 수령(守令)註 014들을 위협하여 자신의 아래에 예속시켰다. 청주 도독 향영(向榮)註 015은 몸을 빼 추화군(推火郡)註 016으로 달아났고, 한산주(漢山州),註 017 우두주(牛頭州),註 018 삽량주(歃良州),註 019 패강진(浿江鎭),註 020 북원경(北原京)註 021 등은 김헌창의 역모를 미리 알고 병사를 동원하여 스스로를 지켰다.
註) 001
웅천주(熊川州): 신라의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 중 하나이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公州市)이다. 본서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6년(686) 2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2
도독(都督): 신라 최상위 광역 지방행정단위 주(州)의 장관직이다. 본서 권제10 신라본기 제10 원성왕 원년(785) 3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3
헌창(憲昌): 태종무열왕계로 원성왕(元聖王)과의 왕위 경쟁에서 밀려나 명주군왕이 된 김주원(金周元)의 아들로, 이때 웅천주(熊川州)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본서 권제10 신라본기 제10 애장왕 8년(807) 정월조의 ‘김헌창’에 대한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4
주원(周元):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셋째 아들 김문왕(金文王)의 5세손이다. 본서 권제9 신라본기 제9 혜공왕 13년(777) 10월조의 주석 참조. 『삼국유사』 권2 기이제2 원성왕조에 의하면 김주원은 상재(上宰)이고 원성왕은 차재(次宰)이고, 원성왕이 김주원이 자신의 위에 있다는 언급을 하는 것을 보아서 당시 김주원의 왕위계승 가능성이 높았던 것 같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44 강원도 강릉대도호부의 인물조에는 김주원이 원성왕이 즉위하자 지금의 강원도 강릉시(江陵市) 일대인 명주(溟州)로 이주하여 명주군왕(溟州郡王)으로 봉하여졌다고 전해진다.바로가기
註) 005
아버지 … 일으켰는데: 이 기사의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김헌창(金憲昌)이 반란을 일으킨 이유는 부친 김주원(金周元)이 원성왕(元聖王)과의 왕위계승 경쟁에서 밀려났고, 그리고 이후 헌덕왕(憲德王) 형제들이 권력을 독점하면서 이에 지방으로 밀려난 것에 불만을 품었기 때문이다. 즉 김주원계와 원성왕계 사이에서 벌어진 왕위쟁탈전의 연장이었고(崔炳憲, 464~465쪽), 무열왕계의 왕위 부흥운동으로서의 성격도 생각해 볼 수 있으며(金昌謙, 297~298쪽), 결국 헌덕왕 즉위 이후 중앙 정치무대에서 소외되거나 배제된 진골귀족 세력의 반발이 폭발한 것으로 볼 수 있다(金東洙, 39쪽). 그렇기 때문에 김헌창의 반란 이후 지방호족들이 할거하는 경향이 촉진되고 왕위쟁탈전이 더욱 심화되었다고 보기도 한다(李基東, 157쪽).
그런데 김헌창의 반란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볼 수도 있다. 일찍부터 골품제적 귀족사회인 신라의 한계가 노정되면서 이를 타파하고자 하는 움직임의 측면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金貞淑, 174~176쪽). 김헌창의 반란이 단순한 왕위 탈취가 아니라 새로운 국가의 건설을 지향했고, 그것이 지역사회의 상당한 호응을 끌어내었다는 것은, 신라 골품제 사회에 반감을 가진 지방인들의 움직임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하일식, 58~59쪽). 그리고 결국 김헌창의 반란이 진압되기는 했지만, 지방이 그만큼 성장했음을 보여주며, 이후 신라 중앙에 집중되었던 정치적‧사회적인 무게 중심이 점차 지방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여주게 되며(주보돈, 2008), 후삼국으로의 분열의 단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黃善榮, 20~25쪽).
〈참고문헌〉
崔炳憲, 1976, 「新羅 下代社會의 動搖」, 『한국사 3』, 국사편찬위원회
金東洙, 1982, 「新羅 憲德·興德王代의 改革政治-특히 興德王 九年에 頒布된 諸規定의 政治的 背景에 대하여-」, 『韓國史硏究』 39
金貞淑, 1984, 「金周元世系의 成立과 그 變遷」, 『白山學報』 28
黃善榮, 1998, 「新羅 下代 金憲昌 亂의 性格」, 『釜山史學』 35
金昌謙, 2003, 『新羅 下代 王位繼承 硏究』, 景仁文化社
주보돈, 2008, 「新羅 下代 金憲昌의 亂과 그 性格」, 『韓國古代史硏究』 51
曺凡煥, 2010, 「新羅 下代 憲德王의 副君 설치와 그 정치적 의미」, 『震檀學報』 110
하일식, 2010, 「신라 말, 고려 초 지방사회와 지방세력-향촌 지배세력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 『韓國中世史硏究』 29
바로가기
註) 006
무진주(武珍州): 신라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 중 하나이다. 경덕왕 16년(575) 12월에 무주(武州)로 개명되었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일대이다. 본서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6년(686) 2월조와 권제9 신라본기 제9 경덕왕 16년(757) 12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7
완산주(完山州): 신라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 중 하나이다. 경덕왕 16년(757) 12월 전주(全州)로 개명된 바 있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전라북도 전주시(全州市)이다. 본서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5년(685)조의 주석과 본서 권제9 신라본기 제9 경덕왕 16년(757) 12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8
청주(菁州): 신라의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 중 하나이다. 경덕왕 16년(757) 12월에 강주(康州)로 개명되었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경상남도 진주시(晉州市)이다. 본서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5년(685)조 기사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9
사벌주(沙伐州): 신라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 중 하나이다. 경덕왕 16년(757) 12월 상주(尙州)로 개명되었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尙州市)이다. 본서 권제4 신라본기 제4 법흥왕 12년(525) 2월조의 주석과 본서 권제9 신라본기 제9 경덕왕 16년(757) 12월조 기사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10
국원경(國原京): 신라의 특수행정구역인 5소경 중 하나로, 현재의 충청북도 충주시(忠州市) 일대에 있었다. 진흥왕 18년(557)에 국원소경(國原小京)을 설치했다가, 경덕왕 16년(757)에 중원경으로 이름을 고쳤다. 본서 권제4 신라본기 제4 진흥왕 18년(557)년조 기사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11
서원경(西原京): 신라의 특수행정구역인 5소경 중 하나로, 현재의 충청북도 청주시(淸州市) 일대에 있었다. 신문왕 5년(685) 3월에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다가, 경덕왕 16년(757)에 서원경으로 이름을 고쳤다. 본서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5년(685) 3월조 기사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12
금관경(金官京): 신라의 특수행정구역인 5소경 중 하나로, 현재의 경상남도 김해시(金海市) 일대에 있었다. 본서 권제34 잡지 제3 지리1 신라 김해소경조를 보면 법흥왕 19년(532)에 금관국〔가락국〕이 항복해 와서 금관군(金官郡)으로 삼았다가, 문무왕 20년(680)에 소경을 두었으며, 경덕왕이 김해경(金海京)으로 이름을 고쳤다고 한다. 본서 권제7 신라본기 제7 문무왕 20년(680) 5월조 기사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13
사신(仕臣): 신라의 특수행정구역인 소경(小京)의 통치를 담당한 장관이다. 본서 권제6 신라본기 제6 문무왕 8년(668) 10월 25일조 기사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14
수령(守令): 군(郡)의 장관은 태수(太守)이고, 현은 소수(少守‧小守)와 현령(縣令)이다.바로가기
註) 015
향영(向榮): 이 기사에만 나오는 인물이다.바로가기
註) 016
추화군(推火郡):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密陽市) 일대에 있던 신라의 지방행정단위이다. 경덕왕이 이름을 밀성군(密城郡)으로 고쳤는데, 여기서는 예전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바로가기
註) 017
한산주(漢山州): 신라의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의 하나이다. 경덕왕 16년(757) 12월에 한주(漢州)로 개명되었다. 주치는 지금의 경기도 광주시(廣州市)이다. 본서 권제4 신라본기 제4 진흥왕 18년(557)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18
우두주(牛頭州): 우수주(牛首州)나 수약주(首若州)라고도 하였다. 신라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 중 하나이다. 경덕왕 16년(757) 12월에 삭주(朔州)로 개명되었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강원도 춘천시(春川市)이다. 본서 권제5 신라본기 제5 태종무열왕 2년 10월조와 권제9 신라본기 제9 경덕왕 16년(757) 12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19
삽량주(歃良州): 신라 광역 지방 행정단위로 이른바 9주 중 하나이다. 경덕왕 16년(757) 12월에 양주(良州)로 개명되었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경상남도 양산시(梁山市)이다. 본서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7년(687) 가을조와 권제9 신라본기 제9 경덕왕 16년(757) 12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20
패강진(浿江鎭): 지금의 황해북도 평산군(平山郡) 평산읍에 두었던 신라의 군진(軍鎭)이다. 본서 권제9 신라본기 제9 선덕왕 3년(782) 2월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21
북원경(北原京): 신라의 특수행정구역인 5소경 중 하나로, 현재의 강원도 원주시(原州市) 일대에 있었다. 문무왕 18년(678) 1월에 북원소경(北原小京)을 설치했다가, 경덕왕 16년(757)에 북원경으로 이름을 고쳤다. 본서 권제7 신라본기 제7 문무왕 18년(557)년조 기사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군사>반란>모의·作亂
  • 정치>왕실>국왕>국명·연호
  • 정치>군사>군사조직>군사전략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