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름 | 이재완 ( 李載完 ) | |
---|---|---|
민족구분 | 한국인 | |
본관지 | 1) 全州 | |
출전 | 1) 신사대동, 13 | |
생년월일 | 1) 1879-12-05 2) 1855-12-05 | |
출전 | 1) 신사대동, 13 2) 신사보감, 귀족 11 | |
현주소 | 1) 京城府 北部 孟峴 十統三戶 2) 京城 北部 孟峴 10統 3戶 | |
출전 | 1) 신사대동, 13 2) 신사보감, 귀족 11 | |
가족관계 부 | 1) 李晸應(興完君) 2) 興完君 李晸應 | |
출전 | 1) 신사대동, 13 2) 신사보감, 귀족 11 | |
가족관계 기타 | 1) 莊祖 李懿 皇帝 玄孫 2) 莊祖 懿皇帝(의 玄孫) | |
출전 | 1) 신사대동, 13 2) 신사보감, 귀족 11 | |
경력및활동 | 1) 乙亥文科 歷 檢閱 承旨 吏曹參判 判書 弘文提學 宮內府內大臣 封完順君 日木報聘大使 副將 承寧府總管 正一品輔國 勳三等太極章 一等太極章 大勳李花大綬章 瑞星章 金尺章 日勳一等旭日桐花大綬章 2) 李王室의 懿親으로 1875년 4월 文科에 발탁됨 1876년 檢閱로 선발되었고 六品으로 승진 1877년 正三品으로 올랐고 同副承旨를 제수받음 1879년 從二品으로 승진 1880년 吏曹叅判 역임 1885년 正二品 승진 1886년 弘文舘提學 역임 1891년 吏曹判書 역임 1892년 從一品 승진 1899년 宮內大臣, 9월 完順君으로 봉해지고 正一品 輔國으로 승진 1901년 3等 叙勳, 太極章 하사, 12월 勳1等 太極章 1904년 大勳李花大綬章 받음 1905년 報聘大使로서 명을 받들고 渡日 1906년 日本國 勳1等 旭日桐花大綬章 拜受 1907년 陸軍副將 역임, 8월 承寧府總管 除授, 瑞星大綬章 下賜 1909년 特陞 金尺大綬章 받음 朝鮮貴族令에 의해 侯爵의 榮典을 하사받음 | |
출전 | 1) 신사대동, 13 2) 신사보감, 귀족 11 | |
인물평외모 | 1) 십수년 전 日淸 양국에서 武器를 購入하여 一小銃을 硏究發明하고 北一營에 軍器廠을 만들어 만일의 國家 變亂에 대비하는 등 그 識見이 뛰어남 國王 李太王의 특별한 대우를 받아 一家의 面目을 떨침 | |
출전 | 1) 신사보감, 귀족 11 | |
참고문헌 | 조선신사대동보 조선신사보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