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내용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한국 고대
사료 DB
삼국사기
자료소개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검색
기타메뉴
사료
목록
검색
자료 내 검색
상세
검색
자료
상세검색
시소러스
검색
도서
삼국사기
삼국유사
금석문
·
문자자료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통일신라
발해
낙랑
중국계 금석문
외국사료
중국정사조선전
한국고대사료집성 중국편
일본육국사 한국관계기사
한국고대사료집성 일본편
문집‧전기‧기타
해동고승전
입당구법순례행기
제왕운기
상세검색
다국어입력기
이체자/유의어
유의어 확장
이체자 적용
전체검색
기사제목
기사본문
AND
OR
저자/편자/
발·수신자
AND
OR
대상기간
년
월
일
~
년
월
일
분류
전체
도서
금석문·문자자료
외국사료
문집‧전기‧기타
자료
목록보기
검색
다시 쓰기
검색
본 사이트의 시소러스 검색은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검색엔진을 이용합니다.
사이트소개
공지사항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삼국사기
삼국사기 -
총 52건
삼국사기 목차
목차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신라본기 제1
시조 혁거세(赫居世) 거서간(居西干)~일성(逸聖) 이사금(尼師今)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신라본기 제2
아달라(阿達羅) 이사금(尼師今)~흘해(訖解) 이사금(尼師今)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신라본기 제3
나물(奈勿) 이사금(尼師今)~소지(炤知) 마립간(麻立干)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4신라본기 제4
지증(智證) 마립간(麻立干)~진평왕(眞平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5신라본기 제5
선덕왕(善德王)~태종(太宗) 무열왕(武烈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6신라본기 제6
문무왕(文武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7신라본기 제7
문무왕(文武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8신라본기 제8
신문왕(神文王)~성덕왕(聖德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9신라본기 제9
효성왕(孝成王)~선덕왕(宣德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元聖王)~신무왕(神武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1신라본기 제11
문성왕(文聖王)~진성왕(眞聖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2신라본기 제12
효공왕(孝恭王)~경순왕(敬順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3고구려본기 제1
시조 동명성왕(東明聖王)~유리왕(琉璃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4고구려본기 제2
대무신왕(大武神王)~모본왕(慕本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5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太祖大王)~차대왕(次大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6고구려본기 제4
신대왕(新大王)~산상왕(山上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7고구려본기 제5
동천왕(東川王)~미천왕(美川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8고구려본기 제6
고국원왕(故國原王)~장수왕(長壽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19고구려본기 제7
문자왕(文咨王)~평원왕(平原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0고구려본기 제8
영양왕(嬰陽王)~영류왕(榮留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1고구려본기 제9
보장왕(寶藏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2고구려본기 제10
보장왕(寶藏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3백제본기 제1
시조 온조왕(溫祚王)~초고왕(肖古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4백제본기 제2
구수왕(仇首王)~침류왕(枕流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5백제본기 제3
진사왕(辰斯王)~개로왕(蓋鹵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6백제본기 제4
문주왕(文周王)~성왕(聖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7백제본기 제5
위덕왕(威德王)~무왕(武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義慈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29연표 상
전한(前漢)효선제(孝宣帝)순(詢)오봉(五鳳)원년(元年)~서진(西晉)세조(世祖)무황제(武皇帝)염(炎)태시(泰始)십년(十年) (BC57~274년)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0연표 중
서진(西晉)세조(世祖)무황제(武皇帝)함녕(咸寧)원년(元年)~양황제(煬皇帝)대업(大業)사년(四年)(275~608)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1연표 하
수(隋)양황제(煬皇帝)대업(大業)오년(五年)~후당(後唐)말제(末帝)청태(淸泰)삼년(三年)(609~936)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2잡지 제1
제사(祭祀)~음악(樂)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3잡지 제2
색복(色服)~옥사(屋舍)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4잡지 제3
지리(地理)一 신라(新羅)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5잡지 제4
지리(地理)二 신라(新羅)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6잡지 제5
지리(地理)三 신라(新羅)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7잡지 제6
지리(地理)四 고구려(高句麗)~백제(百濟)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8잡지 제7
직관(職官) 上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39잡지 제8
직관(職官) 中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40잡지 제9
직관(職官) 下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41열전 제1
김유신(金庾信) 상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42열전 제2
김유신(金庾信) 중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43열전 제3
김유신(金庾信) 하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정덕본(1512년)
권 제44열전 제4
을지문덕(乙支文德)~사다함(斯多含)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성암본
정덕본(1512년)
권 제45열전 제5
을파소(乙巴素)~온달(溫達)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성암본
정덕본(1512년)
권 제46열전 제6
강수(强首)~김수훈(金垂訓)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성암본
정덕본(1512년)
권 제47열전 제7
해론(奚論)~계백(階伯)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성암본
정덕본(1512년)
권 제48열전 제8
향덕(向德)~도미(都彌)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성암본
정덕본(1512년)
권 제49열전 제9
창조리(倉助利)~개소문(蓋蘇文)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성암본
정덕본(1512년)
권 제50열전 제10
궁예(弓裔)~견훤(甄萱)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성암본
정덕본(1512년)
발문
(발문)跋文
판본 전체
옥산서원본(1573년)
성암본
정덕본(1512년)
원문
출력
다운로드
오류신고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
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일람화면
제목
오류 유형
선택하세요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요청 내용
이름
자동입력 방지문자
새로고침
등록하기
다시 쓰기
자료 선택
금석문·문자자료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육국사 한국관계기사
입당구법순례행기
제왕운기
중국정사조선전
한국고대사료집성 일본편
한국고대사료집성 중국편
해동고승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