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해제
「흑치준(黑齒俊) 묘지명」은 부친인 흑치상지(黑齒常之)의 묘지명과 함께 1929년 10월 허난성(河南省) 낙양시(洛陽市)의 북망산(北邙山)에서 발견되었다. 묘지명의 출토경위에 대해서는 최초 소장자인 이근원(李根源)이 「곡석당지목(曲石唐志目)」이라는 해제에서 밝히고 있는데, 1929년에 발견되어 2년 뒤인 1931년에 이근원이 구입하고 소장하였다고 되어 있다(李希沁, 1986, 96∼105쪽).
현재 「흑치준 묘지명」은 행방을 알 수 없다. 「흑치상지 묘지명」을 소장한 남경박물원(南京博物院)에 「흑치준 묘지명」이 함께 소장되어 있다고 추정되기도 하였지만(이문기, 1991, 149쪽), 현재 남경박물원에는 「흑치준 묘지명」이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행방도 알 수 없다(오택현, 2015, 397쪽). 다만 묘지석 실물은 확인할 수 없더라도 탁본이 남겨져 있어(李希沁, 1986, 30쪽; 北京圖書館金石組 編, 1990, 33쪽) 이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다.
「흑치준 묘지명」은 흑치준이 북망산에 묻힌 신룡(神龍) 2년(706) 8월13일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묘지에는 1행에 26자씩 총 26행이어서 전체 642자가 기록되어 있다. 현존하는 탁본의 크기가 길이 53cm, 너비 52cm이므로, 묘지석의 크기도 이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글씨는 해서로 작성되었고, 찬자(撰者)와 서자(書者)는 기록되지 않아 알 수 없다.
「흑치준 묘지명」은 「흑치상지 묘지명」과 함께 백제의 흑치씨(黑齒氏)라는 특정 가문을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이다. 백제의 특정 가문에서 묘지명이 복수로 출토된 사례는 흑치씨 이외에 왕실인 부여씨(扶餘氏)와 최근 주목받은 예씨(禰氏) 뿐이다. 특히 흑치상지는 백제 출신의 유민 1세대이고 흑치준은 당에서 태어난 유민 2세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두 묘지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여러 정보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표 1〉을 보면, 두 묘지명에 기록된 가계(家系)에는 차이가 보인다.
〈표 1〉 두 묘지명에 보이는 가계의 차이(송기호, 1992, 569쪽의 표)
〈표 1〉 두 묘지명에 보이는 가계의 차이(송기호, 1992, 569쪽의 표)
 흑치상지 조부흑치상지 부친
이름관(官)이름관(官)
흑치상지 묘지명덕현(德顯)달솔(達率)사차(沙次)달솔(達率)
흑치준 묘지명가해(加亥)자사(刺史)사자(沙子)호부상서(戶部尙書)

〈표 1〉 을 보면, 두 묘지명에서는 흑치상지의 조부 및 부친의 이름과 관을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조부의 이름은 두 묘지명에서 전혀 달라 한쪽이 오류인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백제식 이름과 중국식 이름의 차이일 가능성이 있다(오택현, 2015, 398쪽). 부친의 이름은 비슷한 편이어서 표기법의 차이 정도라고 생각된다. 관의 경우 「흑치상지 묘지명」은 관등만, 「흑치준 묘지명」은 관직만 기록되어 있는데, 어느 한쪽이 잘못되었다고 하기 어렵다. 특히 「흑치준 묘지명」의 경우 백제의 관직명에 해당되는 당의 관직명으로 기록되어 있어, 거꾸로 당의 관직명을 바탕으로 백제의 실제 관직명을 추정하는 데에 단서가 된다.
두 묘지명 등의 내용을 종합하면, 흑치준의 증조부는 달솔(達率)·군장(郡將)인 흑치덕현(黑齒德顯) 또는 흑치가해(黑齒加亥), 조부는 달솔·주부재(綢部宰)인註 001 흑치사차(黑齒沙次) 또는 흑치사자(黑齒沙子), 부친은 백제에서 달솔·풍달군장(風達郡將)을 지내고 부흥운동에서 활약하다가 당에 항복한 후 좌무위대장군(左武衛大將軍: 정3품)·상주국(上柱國: 정2품)·연국공(燕國公: 종1품)에 임명되고 사후에 좌령군위대장군(左領軍衛大將軍: 정3품)에 추증된 흑치상지이다. 특히 부친 흑치상지는 돌궐(突厥)·토번(吐蕃) 등과의 전쟁에서 많은 활약을 했던 대표적인 번장(蕃將) 중 1명이다. 묘지명은 흑치준이 사망한 해인 706년에 제작되었다.
묘주인 흑치준은 676년에 당에서 태어나 696∼698년에는 이진충(李盡忠)의 난 진압, 돌궐 원정에 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註 002 그 공로로 698년에 유격장군(游擊將軍: 종5품하)·우표도위(右豹韜衛) 익부(翊府) 좌낭장(左郎將: 정5품상)에 임명되었고, 얼마 후 우금오위(右金吾衛) 익부 중랑장(中郞將: 정4품하)·상주국으로 승진하였다가 706년 병 때문에 31세로 사망하였다.
흑치준의 경우 유격장군 이후 최종 무산계(武散階)가 확인되지 않고 관직도 정4품하에 해당하였기 때문에, 묘지명에 당 조정이 개입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흑치준은 당에서 태어난 유민 2세대여서 당에서의 행적이 강조된 반면, 비슷한 관력을 가졌지만 유민 1세대인 진법자(陳法子)의 묘지명은 백제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흑치상지와 흑치준의 묘지명에 흑치준의 증조부부터 부친까지 백제에서 대대로 달솔을 지냈다고 기록되었음을 고려하면, 백제에서 흑치씨 가문의 위상은 좌평(佐平)에는 오르지 못해도 대대로 달솔을 역임할 수 있는 차상위 귀족 가문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註) 001
묘지명에는 “戶部尙書”이지만, 백제의 綢部宰로 판단하였다. 자세한 것은 역주의 주13을 참조하기 바란다.바로가기
註) 002
묘지명의 “弱冠以別奏 從梁王獎西道行”에 해당되는 내용이다. 자세한 것은 역주의 주24를 참조하기 바란다.바로가기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한국고대금석문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