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실죽을 장군으로 삼고 삼년성과 굴산성을 고쳐 쌓다 ( 486년 01월 )
8년(486) 봄 정월에 이찬(伊湌) 실죽(實竹)註 001을 장군(將軍)에 임명하였다. 일선계(一善界)註 002의 장정[丁夫] 3,000명을 징발해서 삼년성(三年城)註 003과 굴산성(屈山城)註 004 두 성을 고쳐 쌓았다.
연관콘텐츠
註) 001
실죽(實竹): 신라 소지마립간대(479~500)의 장군. 소지왕 8년(486) 장군에 기용된 후 고구려와의 전투를 주도하였다. 소지왕 16년(494)에는 살수(薩水)에서 고구려군에 고전했지만, 같은 왕 18년(496)에 벌어진 우산성(牛山城) 전투에서는 이하(泥河)에서 맞선 고구려군을 물리쳤다.바로가기
註) 002
일선계(一善界): 본서 권3 신라본기3 소지마립간 5년(483) 10월조 기사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3
삼년성(三年城): 현재의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에 있는 삼년산성. 본서 권3 신라본기3 자비마립간 13년(470)조의 주석 참조.바로가기
註) 004
굴산성(屈山城): 현재의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혹은 청성면에 있었던 성. 본서 권34 잡지3 지리1 상주(尙州) 삼년군(三年郡)조에 기산현(耆山縣)은 본래 굴현(屈縣)인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고 고려 때의 청산현(靑山縣)이라고 되어 있다.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청산현이 본래 굴산현이라고 하였다. 굴산성은 바로 굴산현, 즉 기산현의 성이라고 할 수 있다. 굴산성이 군현제의 도입에 따라 굴산현으로 편제되었다고 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한 표현일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권16 청산현(靑山縣) 성곽조에는 기성산성(己城山城)이 고을 서쪽 8리에 있는데 돌로 쌓았고 둘레가 2,091척, 높이가 8척이며, 안에 우물 하나가 있고 또 군창(軍倉)이 있다고 되어 있다. 또 고적조에는 저점고성(猪岾古城)이 고을 서쪽 9리에 있는데 돌로 쌓았고 둘레가 2,057척이며, 안에 우물 하나가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다고 되어 있다. 각각은 현재의 이성산성(已城山城)과 저점산성에 비정된다. 이성산성에 대해서는 2015년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는데 5세기에 축조된 신라 토성으로 밝혀졌다(중원문화재연구원, 2015, 『옥천 이성산성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따라서 굴산성을 이성산성에 비정할 수 있지만, 삼년산성과 입지와 양식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저점산성일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군사>군사시설>성
  • 정치>행정>관직>군사관직
  • 경제>경제정책>조세·공역>공역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