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를 건국하다
(
901년
)
천복(天復)註 001 원년 신유(901)에 선종은 왕을 자칭하였다.註 002〔그때〕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지난날 신라가 당(唐)에 군사를 청하여 고구려를 깨뜨렸다. 그런 까닭에 평양 옛 도읍은 폐허가 되었다[鞠爲茂草].註 003 내가 반드시 그 원수를 갚겠다.”註 004라고 하였다. 아마도 태어났을 때 버림받은 것을 원망하여서 이런 말을 한 듯하다. 일찍이 남쪽으로 순행하여 흥주(興州)註 005 부석사(浮石寺)註 006에 이르러 벽에 그려진 신라 왕의 초상을 보고 칼을 뽑아 그것을 쳤는데, 그 칼자국이 아직도 남아 있다.註 007
천복(天復) 원년 신유(901)에 선종은 왕을 자칭하였다: 본서 권제12 신라본기제12 효공왕 5년(901)조에도 궁예가 왕을 칭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삼국유사』 권제1 왕력 후고구려조에 의하면 이 해에 궁예가 국호를 고려라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고려라고도 불렸고(鄭求福, 1992, 50~59쪽), 고구려 후기에는 고려를 국호로 하였으리라고 여겨진다(鄭求福, 1992, 60~63쪽).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의미를 지닌 국호였다. 단 본서의 찬자들은 왕건이 국호를 고려로 하였음을 의식하여 고려라는 국호를 드러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이 고려를 삼국시대의 고구려(고려), 왕건의 고려와 구별하여 후고구려라고 한다. 9세기 말 평주〔平州, 황해도 평산군(북한 황해북도 평산군)〕의 호족 박직윤은 대모달(大毛達)을 칭하였다. 대모달은 고구려의 대모달(大模達)인데, 이것은 당의 위장군(衛將軍)에 비견된다[『신당서』 동이열전 고구려]. 박지윤은 박혁거세의 먼 후손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는 고구려의 부흥을 내세우면서 지역 주민들을 지배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金光洙, 139쪽; 鄭淸柱, 1988; 1995, 44~45쪽). 평산에 이웃한 재령은 고구려 3경(京) 중 하나였던 한성으로 비정된다. 검모잠과 안승의 고구려 부흥운동이 이곳에서 시작하였던 것도 우연이 아닐 것이다. 부흥운동은 실패하였지만, 그 일대에는 고구려의 전통이 남아 있었던 듯하다. 궁예가 국호를 고려라고 하고 고구려의 복수를 내세웠던 것은 영역 내의 고구려 계통의 주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한 해 전인 900년에 후백제가 건국되었다는 점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즉 신라와 후백제가 대립하는 상황에서 궁예의 선택은 고구려가 될 수밖에 없는 면이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李基白, 1976; 1978, 23쪽 : 조인성, 2006; 2007, 182쪽). 한편 참위가(讖緯家)에서는 신유(辛酉) 해를 혁명의 해로 생각하기 때문에 참위 사상의 신봉자였던 궁예가 이해를 택하여 나라를 세우고 왕을 칭하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李丙燾, 1977; 2012, 783쪽의 주 4)].
〈참고문헌〉
李丙燾,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2012, 『國譯 三國史記』(斗溪李丙燾全集 11), 한국학술정보
李基白, 1976, 「『三國史記』論」, 『文學과 知性』1976년 겨울호; 1978, 『韓國史學의 方向』, 一潮閣
金光洙, 1977, 「高麗建國期의 浿西豪族과 對女眞關係」, 『史叢』 21・22
鄭淸柱, 1988, 「新羅末 高麗初 豪族의 形成과 變化에 대한 一考察-平山朴氏의 一家門의 實例檢討-」, 『歷史學報』 118; 1995, 『新羅末 高麗初 豪族硏究』, 一潮閣
鄭求福, 1992, 「高句麗의 ‘高麗’ 國號에 대한 一考-三國史記의 기록과 관련하여」, 『湖西史學』 19·20
조인성, 2006, 「弓裔의 後高句麗 건국과 관련한 두 문제」, 『新羅文化』 27; 2007, 『태봉의 궁예정권』, 푸른역사
〈참고문헌〉
李丙燾,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2012, 『國譯 三國史記』(斗溪李丙燾全集 11), 한국학술정보
李基白, 1976, 「『三國史記』論」, 『文學과 知性』1976년 겨울호; 1978, 『韓國史學의 方向』, 一潮閣
金光洙, 1977, 「高麗建國期의 浿西豪族과 對女眞關係」, 『史叢』 21・22
鄭淸柱, 1988, 「新羅末 高麗初 豪族의 形成과 變化에 대한 一考察-平山朴氏의 一家門의 實例檢討-」, 『歷史學報』 118; 1995, 『新羅末 高麗初 豪族硏究』, 一潮閣
鄭求福, 1992, 「高句麗의 ‘高麗’ 國號에 대한 一考-三國史記의 기록과 관련하여」, 『湖西史學』 19·20
조인성, 2006, 「弓裔의 後高句麗 건국과 관련한 두 문제」, 『新羅文化』 27; 2007, 『태봉의 궁예정권』, 푸른역사
흥주(興州): 신라의 급산군(岌山郡)을 고려 초에 흥주로 고쳤다(『고려사』 권57 지11 지리2 흥주).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이다.
부석사(浮石寺):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있다. 676년(문무왕 16) 2월에 의상(義湘)이 왕명으로 창건하였다. 의상은 이 절에서 40일 동안의 설법하였는데, 이후 신라 화엄종의 종찰(宗刹)이 되었다[본서 권제7 신라본기제7 문무왕 16년 2월; 『삼국유사』 권제4 의해제5 의상전교(義相傳敎)]. 의상을 부석존자(浮石尊者)라고 칭하고 의상의 화엄종을 부석종(浮石宗)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부석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부석사의 벽에 신라 왕의 초상이 그려져 있었다는 것은 부석사와 왕실이 관련이 깊었음을 의미할 것인데, 그것이 어느 왕의 초상화였는지는 알 수 없다.
연관콘텐츠
註) 002
천복(天復) 원년 신유(901)에 선종은 왕을 자칭하였다: 본서 권제12 신라본기제12 효공왕 5년(901)조에도 궁예가 왕을 칭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삼국유사』 권제1 왕력 후고구려조에 의하면 이 해에 궁예가 국호를 고려라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고려라고도 불렸고(鄭求福, 1992, 50~59쪽), 고구려 후기에는 고려를 국호로 하였으리라고 여겨진다(鄭求福, 1992, 60~63쪽).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의미를 지닌 국호였다. 단 본서의 찬자들은 왕건이 국호를 고려로 하였음을 의식하여 고려라는 국호를 드러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이 고려를 삼국시대의 고구려(고려), 왕건의 고려와 구별하여 후고구려라고 한다. 9세기 말 평주〔平州, 황해도 평산군(북한 황해북도 평산군)〕의 호족 박직윤은 대모달(大毛達)을 칭하였다. 대모달은 고구려의 대모달(大模達)인데, 이것은 당의 위장군(衛將軍)에 비견된다[『신당서』 동이열전 고구려]. 박지윤은 박혁거세의 먼 후손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는 고구려의 부흥을 내세우면서 지역 주민들을 지배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金光洙, 139쪽; 鄭淸柱, 1988; 1995, 44~45쪽). 평산에 이웃한 재령은 고구려 3경(京) 중 하나였던 한성으로 비정된다. 검모잠과 안승의 고구려 부흥운동이 이곳에서 시작하였던 것도 우연이 아닐 것이다. 부흥운동은 실패하였지만, 그 일대에는 고구려의 전통이 남아 있었던 듯하다. 궁예가 국호를 고려라고 하고 고구려의 복수를 내세웠던 것은 영역 내의 고구려 계통의 주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한 해 전인 900년에 후백제가 건국되었다는 점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즉 신라와 후백제가 대립하는 상황에서 궁예의 선택은 고구려가 될 수밖에 없는 면이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李基白, 1976; 1978, 23쪽 : 조인성, 2006; 2007, 182쪽). 한편 참위가(讖緯家)에서는 신유(辛酉) 해를 혁명의 해로 생각하기 때문에 참위 사상의 신봉자였던 궁예가 이해를 택하여 나라를 세우고 왕을 칭하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李丙燾, 1977; 2012, 783쪽의 주 4)].
〈참고문헌〉
李丙燾,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2012, 『國譯 三國史記』(斗溪李丙燾全集 11), 한국학술정보
李基白, 1976, 「『三國史記』論」, 『文學과 知性』1976년 겨울호; 1978, 『韓國史學의 方向』, 一潮閣
金光洙, 1977, 「高麗建國期의 浿西豪族과 對女眞關係」, 『史叢』 21・22
鄭淸柱, 1988, 「新羅末 高麗初 豪族의 形成과 變化에 대한 一考察-平山朴氏의 一家門의 實例檢討-」, 『歷史學報』 118; 1995, 『新羅末 高麗初 豪族硏究』, 一潮閣
鄭求福, 1992, 「高句麗의 ‘高麗’ 國號에 대한 一考-三國史記의 기록과 관련하여」, 『湖西史學』 19·20
조인성, 2006, 「弓裔의 後高句麗 건국과 관련한 두 문제」, 『新羅文化』 27; 2007, 『태봉의 궁예정권』, 푸른역사
〈참고문헌〉
李丙燾,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2012, 『國譯 三國史記』(斗溪李丙燾全集 11), 한국학술정보
李基白, 1976, 「『三國史記』論」, 『文學과 知性』1976년 겨울호; 1978, 『韓國史學의 方向』, 一潮閣
金光洙, 1977, 「高麗建國期의 浿西豪族과 對女眞關係」, 『史叢』 21・22
鄭淸柱, 1988, 「新羅末 高麗初 豪族의 形成과 變化에 대한 一考察-平山朴氏의 一家門의 實例檢討-」, 『歷史學報』 118; 1995, 『新羅末 高麗初 豪族硏究』, 一潮閣
鄭求福, 1992, 「高句麗의 ‘高麗’ 國號에 대한 一考-三國史記의 기록과 관련하여」, 『湖西史學』 19·20
조인성, 2006, 「弓裔의 後高句麗 건국과 관련한 두 문제」, 『新羅文化』 27; 2007, 『태봉의 궁예정권』, 푸른역사
註) 003
註) 004
註) 005
흥주(興州): 신라의 급산군(岌山郡)을 고려 초에 흥주로 고쳤다(『고려사』 권57 지11 지리2 흥주).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이다.
註) 006
부석사(浮石寺):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있다. 676년(문무왕 16) 2월에 의상(義湘)이 왕명으로 창건하였다. 의상은 이 절에서 40일 동안의 설법하였는데, 이후 신라 화엄종의 종찰(宗刹)이 되었다[본서 권제7 신라본기제7 문무왕 16년 2월; 『삼국유사』 권제4 의해제5 의상전교(義相傳敎)]. 의상을 부석존자(浮石尊者)라고 칭하고 의상의 화엄종을 부석종(浮石宗)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부석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부석사의 벽에 신라 왕의 초상이 그려져 있었다는 것은 부석사와 왕실이 관련이 깊었음을 의미할 것인데, 그것이 어느 왕의 초상화였는지는 알 수 없다.
주제분류
- 정치>왕실>국왕>즉위·책봉
- 정치>군사>전쟁>전투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