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운주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다 ( 934년 01월 )
청태(淸泰)註 001 원년(934) 봄 정월註 002에 태조가 운주(運州)註 003에 머물고 있다는 소식을 견훤이 듣고, 드디어 군사[甲士] 5,000명을 선발하여 이르렀다. 장군 금필(黔弼)註 004이 그가〔견훤이〕 미처 진을 치지 않았는데 굳센 기병 수천 명으로 돌격하여 3천여 명을 베어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웅진(熊津)註 005 이북의 30여 성註 006이 소문을 듣고 스스로 항복하였다. 견훤 휘하의 술사(術士) 종훈(宗訓),註 007 의자(醫者) 훈겸(訓謙),註 008 용감한 장수 상달(尙達)과 최필(崔弼)註 009 등이 태조에게 항복하였다.註 010
註) 001
청태(淸泰): 중국 후당 말제〔末帝. 폐제(廢帝)라고도 함〕의 연호로 934~936년 동안 사용되었다.바로가기
註) 002
봄 정월: 『고려사』 권2 세가2 태조 17년(934) 9월 정사조에는 이때의 일로 기록되어 있다.바로가기
註) 003
운주(運州):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일대이다. 『고려사』 권56 지10 지리1 양광도 홍주조에는 “성종 14년(995)에 운주도단련사(運州都團練使)를 두었다. 현종 3년(1012)에 지주사(知州事)로 고쳤다가 뒤에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태조실록』 10년(927)에 3월 기사 중 ‘왕이 운주에 들어갔다. ’라는 글의 주에 ‘지금의 홍주이다. ’라고 하였다. 】. ”라고 되어 있다.바로가기
註) 004
금필(黔弼): 유금필(庾黔弼)이다. 생몰년 ?~941년. 평주〔平州, 황해도 평산군(북한의 황해북도 평산군)〕의 호족 출신으로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큰 공을 세웠다. 주지하다시피 무열왕과 문무왕을 도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장군은 김유신이었다.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장군은 유금필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전기는 『고려사』 권92 열전5에 실려 있다.
〈참고문헌〉
김갑동, 2008,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유금필」, 『軍史』 69
신성재, 2017, 「고려 태조대 명장 충절공(忠節公) 유금필(庾黔弼)」, 『軍史』 102; 2018, 『후삼국 통일전쟁사 연구』, 혜안
바로가기
註) 005
웅진(熊津):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 일대이다. 본래 백제의 수도였으며, 신라 신문왕이 웅천주(熊川州)로 삼았으며, 경덕왕 16년(757)에 웅주(熊州)로 고쳤다[본서 권제36 잡지제5 지리3 신라 웅주].바로가기
註) 006
웅진 이북 30여 성: 본서 권제12 신라본기제12 경순왕 8년(934) 9월조에는 운주 부근[運州界] 30여 군현이 왕건에게 항복하였다고 나온다.바로가기
註) 007
술사(術士) 종훈(宗訓): 술사(術士)는 음양, 복서, 점술 등에 능통한 사람을 가키는데, 여기에서는 풍수지리에 밝은 자로서 전술(戰術)을 담당한 듯하다[姜仁求 외, 2002, 『譯註 三國遺事』 Ⅱ, 以會文化社, 230~231쪽의 주 175)]. 종훈에 대해서는 더 이상 알 수 없다.바로가기
註) 008
의자(醫者) 훈겸(訓謙): 의자(醫者)는 종군한 의원일 것이다. 『삼국유사』 권제2 기이제2 후백제 견훤조에는 지겸(之謙)으로 되어 있다. 훈겸에 대해서는 더 이상 알 수 없다.바로가기
註) 009
상달(尙達)과 최필(崔弼): 『삼국유사』 권제2 기이제2 후백제 견훤조에는 상봉(尙逢)과 작필(雀弼)로 되어 있다. 상달과 최필에 대해서는 더 이상 알 수 없다.바로가기
註) 010
청태(淸泰) 원년(934) … 항복하였다: 『고려사』 권2 세가2 태조 17년(934) 9월 정사조『고려사』 권92 열전5 제신 유금필전에 같은 사건을 전하는 기사가 실려 있다. 운주 전투에서 패배하고, 웅진 이북 30여 성이 왕건에게 귀부함으로써 전세는 완연히 왕건 쪽으로 기울었다.
〈참고문헌〉
김명진, 2015, 「고려 태조 왕건의 운주전투와 긍준의 역할」, 『軍史』 96
신성재, 2019, 「후삼국 통일전쟁과 운주전투」 『軍史』 110
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군사>전쟁>전쟁결과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