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지리정보는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 GIS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지도의 기호정보를 GIS 기반으로 구축하였습니다.
※ 제공하는 지리 정보는 각 지도에 표시된 행정시설, 교육시설, 통신시설 등의 기호를 중심으로 포인트 정보를 구축한 것입니다. 하단의 지리정보 Layer를 참조바랍니다.
- 당시 존재했던 각 시설의 모든 위치 정보를 지리정보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지도 상의 모든 기호가 DB화되지 않았음에 유의바랍니다.
※ 제공되는 지리정보는 '연구 참고용'이며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 지리정보는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1:50,000 축척 지형도를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졌습니다.
- 지리정보 작업 시 정보의 정확도를 올리기 위해 1:10,000 축척 지형도 등 기타 자료도 부분적으로 이용하였습니다(자세한 내역은 개방데이터 참조).
- 자료 이용시 도엽의 제작 시기, 지도 자체의 기호 누락, 오기 등을 고려하길 바랍니다.
- 지도 상태에 따라 지리 정보의 파악이 어려워 일부 누락이나 오식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구성
1. 기본도(베이스맵)
1) 좌표계 : GRS80 타원체, UTM-K 좌표계(EPSG : 5179)
2) 현재 지도 : 국토지리정보원 제공 수치지도 오픈 API 사용
3) 1919년 당시 지도(래스터 이미지) : 다음의 원칙을 기준으로 도엽을 선택하여 타일맵 형태로 지도 영상 제작
* 1919년 이전 발행 도엽 중 1919년에 가장 가까운 시기에 조선총독부와 일본 육지측량부에서 발행한 1:50,000 축척의 ‘조선지형도’를 기본적으로 사용함.
* 위에 해당하는 도엽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의 원칙을 따름.
① 위와 같은 시기에 발행한 다른 축척(1:25,000 또는 1:200,000 등)의 '조선지형도'
② 1:50,000 축척의 1919년 이후 발행분 중 1919년에 가장 가까운 시기에 제작한 '조선지형도'
③ 도엽이나 등고선 등의 정보를 생략하여 제작한 ‘조선교통도’(1926년 제작)
④ 미국 육군 측지부대(AMS)에서 광복 이후~한국전쟁기에 제작한 1:50,000 축척 지형도(AMS L751) * 안변, 거제도 지역에 사용됨.
* ‘조선지형도’ 등 당시 지도에 사용한 도엽은 BESSEL TM 타원체 기준으로 제작되었으며, 기본도 구축 시에는 GRS80 타원체 기준으로 변환함.
3) 주요시설(도, 부, 군청, 면사무소, 철도역 등)의 경우에는 조선총독부관보, 1:10,000 축척 지형도 등 각종자료에 나타나는 정식명칭을 최대한 찾아 부여함.
- 위치값 부여 : 지형도 상에 표현된 위치 그대로를 위경도값으로 표현함.
* 지형도에 표현된 위치가 반드시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지형도 제작 당시의 오기, 또는 종이 지형도의 보관 및 디지털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상황으로 인해 현재 지도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연계 : 한국사데이터베이스의 한국근대지도자료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지형도를 기본도로하여 구축한 지리정보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기본도를 이미지로 볼 수 있도록 연계하였습니다.
한국근대지리정보를 만든 사람들
- 기획 : 류준범(연구편찬정보화실장), 김대호(연구편찬정보화실 근대사료편찬팀), 이홍구(연구편찬정보화실 근대사료편찬팀)(2019)
- 참여 연구진 및 사업자
1) 기본도 제작 : ㈜ 지오투정보기술(2017년 최초 구축), ㈜ 환경과학기술(2018년 보완), ㈜ SJMNC(2019년 보완)
2) 공간정보 DB 구축 : (2019년도 역사 공간 정보 DB 구축 연구 수행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