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
[01] … 국 신라 문무왕릉의 비이다. 급찬(及飱)인 국학소경(國學少卿) 김(金)▨▨가 임금의 교(敎)를 받들어 찬술하다.
[02] … 하늘과 짝하여 만물과 통하며, 땅을 나눠 주고 그 나라를 경영함에 덕을 쌓아 … 당대의 어려움을 구제하고, 신에 응하여 … 靈命을 …
[03] … 경진씨(鯨津氏)를 파견하여 삼산(三山)의 궐(闕)을 비추고, 동으로는 개오(開梧)의 지경을 막고, 남으로는 ▨계(▨桂)와 이웃하고, 〈북으로는〉 황룡(黃龍)을 맞아 주몽(朱蒙)을 태우고, … 백무(白武)를 이어 받아 …을 우러르며 …
[04] … 그 능한 바에 최선을 다하여 이름과 실제가 다 이루어지고, 덕과 지위가 겸하여 융성해진다. 〈그래서〉 땅은 팔방(八方) 먼 곳까지 걸쳐 있고, 그 훈공은 삼한에 뛰어나, 그 넓고 높음을 다 일컬을 수가 없는 분이 우리 신라 …
[05] … 그 신령스러운 근원은 멀리서부터 내려와 화관(火官)의 후예에 창성한 터전을 이었고, 높이 세워져 바야흐로 융성하니, 이로부터 ▨지가 영이함을 담아낼 수 있었다. 하늘에 제사지내는 투후(秺侯)의 후손이 7대를 전하여 … 하였다.
[06] … 15대조 성한왕(星漢王)은 그 바탕이 하늘에서 내리고, 그 영혼이 선악(仙岳)에서 나와, …을 개창하고 다스리며, 옥란(玉欄)을 대하였다. 비로소 조상의 복이 상서로운 수풀과 같고, 마치 석뉴(石紐)를 보고 금수레에 앉아 … 하는 것 같았다. …
[07] … 대왕은 생각하심이 깊고 멀었으며, 풍모가 뛰어났고, 도량은 바다와 하천과 같았으며 위엄은 우레와 같았다. … ▨은 바야흐로 자취를 거두고 봉화는 멎고 척후는 없어지니, 만 리의 맑은 기운은 부지런히 … 를 열었다. …
[08] … 간▨의 덕에 내외가 평화로워지고, 광대한 기풍에 원근이 편안하고 깨끗해지니, ▨공 성▨은 장래에 … 하고, 쌓이고 뭉친 순수함과 곧음은 후예들에게 넉넉함을 드리워 주었다. …
[09] … ▨▨사회(▨▨舍誨)는 이에 성철의 뛰어난 모습이라, 은혜로써 사람들을 어루만지고 너그러움으로써 사물을 다스리니, … 한 자는 그 때를 알고, 덕을 이어받은 자는 모두 그 이웃을 알아보니, 그 명성이 한하(閒河)에까지 넘쳤다. …
[10] … ▨봉을 ▨하여 ▨간하고, 5백 년을 기약하여 큰 명을 내려주니, 머무르면 모두 … 함을 얻었고, … 비추는 것은 단부(丹府)에 거의 가까웠다. 의에 부합하고 성정이 흥하고, 깊은 정은 … 을 살펴 …
[11] … 바탕을 돕고, 정의 근원은 맑디맑아, 삼키어 받아들임은 금▨(襟▨)에 ▨하였다. … 하시는 말씀은 규범을 이루고, 용모와 행동은 가히 볼 만하였으며, 학문은 고금을 두루 통하였다. …
[12] … 시(詩)와 예(禮)의 가르침에 …, 주나라는 교재(橋梓)의 ▨에 경의를 표하였다. … 당나라 태종문무성황제(太宗文武聖皇帝)가 사▨(社▨)의 ▨에 응하여 …
[13] … 임금이 돌아가시고 풍악은 멎었다. 재진(在辰) 이후에 …
[14] … 순 임금은 바다와 같이 덕을 내려도 절현(截懸)이 있었고, 요 임금은 해와 같이 밝게 비추어도 은▨(垠▨)이 없었다. …
[15] … 빛나고, 구열(九列)은 천부(天府)를 관장하여 …
[16] … 천사도 감통시켜 그 재앙을 그치게 하니, 편안하고 쉽게 건너 …
[17] … 이웃 나라와의 우호를 어기고 자주 이쪽저쪽으로 붙으려 하면서, 겉으로는 …을 믿는 척하니 …
[18] … 〈소정방을〉 웅진도행군대총관(熊津道行軍大總管)으로 삼고, 군왕을 …
[19] … 황산(黃山)에 군진을 펼치니, 적들이 고슴도치와 올빼미처럼 모여들어 〈진군을〉 가로막고자 하였다. …
[20] … 적의 수도에 이르자 그 우두머리가 군문에서 머리를 조아리며 사죄하였고, 그 신하들도 …
[21] … 3년이었다. 용삭 원년(661년, 문무왕 즉위)에 이르러 …
[22] … 보배로 여기는 바는 오직 어진 사람이니, 선을 행함을 가장 즐거워하고, 인을 ▨함을 …
[23] … 조정과 백성이 모두 즐거워하니, 굳이 애써 행함이 없다고 하더라도 …
[24] … 진백(秦伯)의 터전을 다시 일으켰다. …
[25] … 교화가 북으로 읍루(挹婁)에까지 접하니, 벌떼처럼 …
[26] … 군왕에게 조서를 내려, 사지절(使持節) … 으로 봉하였다. …
[27] … 군대가 하늘로부터 내려오니, 깃발이 …
[28] … 꾀는 손을 뒤집는 일처럼 쉽게 나왔는데, 절묘하기가 …
[후면]
[01] … 환산(丸山)에 공적을 기록한 장수가 있어 …
[02] … 곧바로 9주를 바르게 다스려 바로 잡고, 동서로 정벌하여 …
[03] … 궁 침실에서 돌아가시니, 그 때 나이는 56세였다. …
[04] … 목동들이 그 위에서 노래 부르고, 여우가 그 옆에 굴을 뚫을 것이니 …
[05] … 화장을 하라 하니, 그 달 초열흘에 화장하여 …
[06] … 천황대제(天皇大帝)께서 …
[07] … 왕의 예절에 맞았다. 군왕은 도량이 …
[08] … 나라를 … 하는 방법에 〈부합하였고〉, 백성들을 불쌍히 여기심은 팔정(八政)의 ▨과 같았다. …
[09] … 돌아가시니, 참으로 백대의 현명한 왕이시요, 실로 천(千) …
[10] … 맑고 아름답기 선비 같으시고, 삼언(三言)을 빌지 않아도 준▨(駿▨)을 알았다. …
[11] … 못을 여니 호량(濠梁)을 방불하였고, 비단과 돌을 펼쳐 …
[12] … 손님이 아름다운 소리를 듣고 안개처럼 모여 드니, 이를 말하여 아침에 많고 …
[13] … 묘(昴)에 들어가서는 돌아감을 잊으시고, 곰을 맞추시고도 돌아가지 않으셨다. 태자 계(雞) …
[14] … 단청은 기린각(麒麟閣)에 흡족하고, 서책은 운대(芸臺)에서 닳고 헤어졌다.
[15] … 삼가 절을 드리고, 이만 그치며 명(銘)을 쓴다.
[16] … 천 갈래의 가지가 되어, 삼산(三山)에까지 뻗어 비치네. 아름답고 성한 덕은 멀리 …에 전해져 …
[17] … 진실로 용맹하시고 진실로 큰 덕이 있으시고, 재능이 많으셨네. 아랫사람을 생각하여 거머리마저 삼키시고, …
[18] … 아홉 번 정벌하고, 친히 삼군(三軍)을 통솔하시어 … 위엄과 은혜는 혁혁히 빛나, 저 아득히 먼 옥저(沃沮)와 예(穢)까지 찾아와 군역(軍役)을 청하였네. 잠동하던 …
[19] … 풍교(風敎)를 흠모하여, 단증(丹甑)이 여러 번 나오고, 황▨(黃▨)이 하늘을 진호하였도다. … 적오(赤烏)가 재앙을 나타내고, 황웅(黃熊)이 우러름을 표시하니, 갑자기 바람에 흔들리는 촛불처럼 홀연히 …
[20] … 참됨으로 응집하게 하시고, 도는 귀하게 몸은 천하게 여기셨네. 부처의 가르침을 흠미하여, 장작을 쌓아 장사를 지내는 화장을 하니 … 경진(鯨津)에 뼛가루를 날리셨네. 대를 이은 임금은 진실로 공손하여, 마음에서 우러난 효성과 우애가 …
[21] … 크나큰 이름, 하늘과 더불어 길고 땅과 더불어 오래리 …
[22] … 25일에 비석을 세우다. 대사(大舍) 신(臣) 한눌유(韓訥儒)가 임금님의 가르침을 받들어 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