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원문

교감판독문


가.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01〉
[01] ×▨▨×
[02] ×太祖星漢註 001×
[03] ×品物×
〈02〉
[01] ×大命在於俟×
[02] ×卄四代孫⎵×
[03] ×▨粹⎵⎵×
[04] ×業×
〈03〉
[01] ×▨▨×
[02] ×除副將軍×
[03] ×飡驍騎將軍叡恭▨×
[04] ×⎵註 002憲德大王註 003寢膳有×
[05] ×宗之諒闇無以加焉×
[06] ×▨▨倉庫充溢史▨×
〈04〉
[01] ×兵部註 004侍郞註 005×
[02] ×前執事郞註 006×
[03] ×專知官註 007前執事郞×
[04] ×知官前倉部註 008×
[05] ×前×
〈05〉
[01] ×侍郞×
[02] ×執事郞中×
[03] ×郞中×
〈06〉
[01] ×君王註 009×
[02] ×格式是皆×
[03] ×▨累徑▨×
〈07〉
[01] ×俗▨×
[02] ×要號爲▨×
[03] ×必先▨之▨×
[04] ×使守職方×
[05] ×▨▨▨×
〈08〉
[01] ×▨▨▨×
[02] ×▨聖相×
[03] ×神謀決斷×
[04] ×▨秘註 010佛東▨×
〈09〉
[01] ×▨▨委▨▨×
[02] ×盈溢人戶富饒×
[03] ×▨⎵⎵⎵⎵王居第一×
[04] ×▨金連薩飡註 011嘉長等×
[05] ×舒▨▨▨註 012×
〈10〉
[01] ×不顧妻子▨×
[02] ×神共棄▨×
[03] ×▨註 013副除註 014×
〈11〉
[01] ×▨▨×
[02] ×▨志擅▨×
[03] ×▨之職註 015一×
〈12〉
[01] ×之國繇▨註 016×
[02] ×在於▨×
〈13〉
[01] ×▨註 017請若×
[03] ×年兼×
[03] ×行內註 018×
[04] ×官▨註 019×
〈14〉
[01] ×▨註 020歷數▨×
[02] ×海盛花註 021×
[03] ×▨註 022▨▨×
〈15〉
[01] ×四月遂×
[02] ×之成康×
[03] ×太尉×註 023
〈16〉
[01] ×▨之▨×
[02] ×居喪水×
[03] ×▨×
〈17〉
[01] ×▨註 024▨×
[02] ×奄焉早×
[03] ×欲爲桂▨×
〈18〉
[01] ×▨註 025無×
[02] ×肌膚▨×
[03] ×薨于×
〈19〉
[01] ×以▨×
[02] ×督金×
[03] ×▨韓×
〈20〉
[01] ×▨▨×
[02] ×⎵⎵⎵昭成×
[03] ×宮之別寢其▨註 026×
[04] ×克聖克神乃▨×
〈21〉
[01] ×餘力其一 註 027於×
[02] ×▨承註 028光贊前×
[03] ×務昔殳指日克×
[04] ×▨定諡▨×
〈22〉
[01] ×▨註 029思之不▨▨×
[02] ×▨貿易之人問註 030▨×
[03] ×規諫及乎×
〈23〉
[01] ×▨鏡望×
[02] ×▨帝爲我滅▨註 031×
[03] ×損傷目此▨×
[04] ×▨甿足見×
[05] ×是▨×
〈24〉
[01] ×我國家×
[02] ×▨註 032爲▨×
[03] ×之仁伏×
[04] ×長史撫而×
[05] ×▨▨×
〈25〉
[01] ×▨有日▨×
[02] ×字註 033▨×
〈26〉
[01] ×▨城中▨×
[02] ×▨感悅▨註 034×
[03] ×▨×
〈27〉
[01] ×[姚]克一×
〈28〉
[01] ×二註 035司撿×
〈29〉
[01] ×年加×
[02] ×▨▨註 036×
[03] ×但念×
[04] ×六▨×
〈30〉
[01] ×▨之文意▨×
[02] ×杖註 037持節×
[03] ×不×
〈31〉
[01] ×▨兼春×
〈32〉
[01] ×政▨註 038×
〈33〉
[01] ×▨見×
[02] ×▨普×
〈34〉
[01] ×翰林郞註 039×
〈35〉
[01] ×▨不×
[02] ×▨▨正×
〈36〉
[01] ×▨×
[02] ×▨確×
[03] ×▨誤×
[04] ×▨×
〈37〉
[01] ×並命赴×
[02] ×▨宮註 040十五日註 041×
[03] ×▨▨×
〈38〉
[01] ×敎×
〈39〉
[01] ×▨將軍×
〈40〉
[01] ×立註 042▨×
〈41〉
[01] ×寺×
〈42〉
[01] ×得▨×
[02] ×▨×
〈43〉
[01] ×▨×
[02] ×▨七×
〈44〉
[01] ×▨ 註 043×
[02] ×[皇]▨註 044 ×
〈45〉
[01] ×脩×
〈46〉
[01] ×故▨×
〈47〉
[01] ×君子×
[02] ×▨×
〈48〉
[01] ×章▨×
〈49〉
[01] ×▨註 045註 046×
[02] ×▨[國]註 047▨×
〈50〉
[01] ×[及]註 048註 049×
[02] ×▨[回]註 050▨×
〈51〉
[01] ×講×
[03] ×更註 051註 052×
[03] ×▨×
〈52〉
[01] ×▨▨×
[02] ×▨[聶]▨×
[03] ×太註 053註 054註 055×
〈53〉
[01] ×▨▨×
[02] ×先被▨×
[03] ×旨▨×
〈54〉
[01] ×▨之▨×
[02] ×▨▨宣僚×
[03] ×▨王註 056之妹×
〈55〉
[01] ×▨二[義]×
[02] ×[飛]之日×
〈56〉
[01] ×阿飡註 057×
[02] ×▨註 058×
〈57〉
[01] ×[崔]註 059 … ▨×
〈58〉
[01] ×▨司×
〈59〉
[01] ×昇▨×
〈60〉
[01] ×▨註 060執事註 061×
〈61〉
[01] ×駕▨×
〈62〉
[01] ×弟註 062註 063×

나. 민영규 소장
〈01〉
[01] ×⎵昭成×註 064
[02] ×於秘×
[03] ×戶葬▨註 065×
[04] ▨臣▨×
[05] ▨×
〈02〉
[01] ×壽六十註 066是日也×
〈03〉
[01] ×日所▨×
[02] ×巳註 067之歲×註 068⎵⎵⎵冊
[03] ×化之源漢之蕭曺×
[04] ×一日憚之×
[05] ×無良將空▨×
〈04〉
[01] ×則煩×
[02] ×州▨×
〈05〉
[01] ×格▨註 069×
[02] ×▨裕×
[03] ×▨緇×
〈06〉
[01] ×庭部×
〈07〉
[01] ×興德註 070×
〈08〉
[01] ×郞註 071韓舍註 072▨×
[02] ×▨韓舍×
〈09〉
[01] ×我興德×
[02] ×▨▨之×

다. 김상기 소장
〈01〉
[01] ×▨×
[02] ×▨慘裂日▨×
[03] ×▨稟註 073下×
[04] ×子×
〈02〉
[01] ×▨止可觀×
[02] ×氏玄功撫歷註 074▨×
[03] ×▨之姿苞君人×
[04] ×▨政嶷註 075之王×

라.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01〉
[01] ×泰註 076註 077註 078×

마.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01〉
[01] ×▨歲×
[02] ×田苗▨×
[03] ×乃疲×
〈02〉
[01] ×▨×
[02] ×行×
[03] ×奉×
〈03〉
[01] ×皇註 079×
[02] ×木註 080×

바.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01〉
[01] ×是▨聽▨×
[02] ×▨▨▨×

사.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01〉
[01] ×▨及遐×
[02] ×〈引+甫〉𧦓而退×

아. 황수영 소장
〈01〉
[01] ×▨▨×
[02] ×瑞氣×
註) 001
太祖星漢 : 태조성한(太祖星漢)은 신라의 시조로 등장하는 인물이지만 여러 견해가 있다. 이에 대한 해석에 따라 신라 왕실의 근원과 계통이 달라진다. 성한왕(星漢王)을 김알지(金閼智)로 보는 견해, 알지의 아들인 세한(勢漢)으로 보는 견해, 알지의 7세손으로 김씨 중 최초로 왕위에 오른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으로 보는 견해,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바로가기
註) 002
⎵ : ▨(李宇泰, 36쪽)바로가기
註) 003
憲德大王 : 신라 제41대 왕인 헌덕왕으로 이름은 언승(彦昇)이다. 소성왕의 동생이자 헌덕왕의 형이다.바로가기
註) 004
兵部 : 병부(兵部)는 신라의 핵심적인 중앙관부로서 다른 관부에 비해 이른 시기인 법흥왕 3년(516)에 처음 설립되었다. 장관은 영(令)이며, 차관은 시랑(侍郞)이라고 하였다.바로가기
註) 005
郞 : ▨(李宇泰, 39쪽)바로가기
註) 006
執事郞 : 통일신라시대 집사성(執事省)은 원래 품주(稟主)가 명칭이 변한 관부였다. 품주는 진덕왕 5년(651)에 집사부(執事部)로 되었다가 흥덕왕 4년(829)에 집사성으로 되었다. 장관은 중시(中侍)였고 그 아래에 전대등(典大等), 대사(大舍), 사지(舍知) 등이 있었으며, 경덕왕 때에 당나라 문하성(門下省)의 관직을 모방하여 각각 시중(侍中), 시랑(侍郞), 낭중(郎中), 원외랑(員外郞) 등으로 개칭하였다.바로가기
註) 007
專知官 : 담당 관원이란 뜻이다.바로가기
註) 008
倉部 : 진덕왕 5년(651)에 품주(稟主)에서 갈라져 나와 처음 설치되었으며, 장관은 영(令)으로 2인이 배치되었다.바로가기
註) 009
王 : 主(崔鉛植, 421쪽)바로가기
註) 010
秘 : 祕(閔泳珪, 1962, 630쪽)바로가기
註) 011
薩飡 : 신라 관등 제 8위인 사찬(沙飡)의 다른 명칭이다.바로가기
註) 012
▨ : 余(『新羅文字資料Ⅱ』, 195쪽)바로가기
註) 013
▨ : [允](李宇泰, 38쪽)바로가기
註) 014
除 : 際(황수영, 1999, 99쪽)바로가기
註) 015
職 : 軄(황수영, 1999, 99쪽)바로가기
註) 016
▨ : 具(『新羅文字資料Ⅱ』, 191쪽)바로가기
註) 017
▨ : 識(『新羅文字資料Ⅱ』, 193쪽)바로가기
註) 018
內 : 𠔿(황수영, 1999, 100쪽), 囚(『新羅文字資料Ⅱ』, 193쪽)바로가기
註) 019
▨ : [先](『新羅文字資料Ⅱ』, 193쪽)바로가기
註) 020
▨ : [應](李宇泰, 39쪽; 『新羅文字資料Ⅱ』, 190쪽)바로가기
註) 021
花 : 化(황수영, 1999, 100쪽)바로가기
註) 022
▨ : [合](『新羅文字資料Ⅱ』, 190쪽)바로가기
註) 023
太尉 : 흥덕왕은 즉위 이듬해에 당나라로부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검교태위(檢校太尉) 사지절(使持節) 대도독(大都督) 계림주제군사(鷄林州諸軍事) 겸 지절충영해군사(持節充寧海軍使) 신라왕(新羅王)’으로 책봉되었다. 비문의 ‘태위’는 그 일부로 보이며, 흥덕왕을 지칭한다.바로가기
註) 024
▨ : 有(李宇泰, 39쪽; 『新羅文字資料Ⅱ』, 190쪽)바로가기
註) 025
▨ : 大(『新羅文字資料Ⅱ』, 192쪽), [大](李宇泰, 39쪽)바로가기
註) 026
▨ : [降](『新羅文字資料Ⅱ』, 195쪽)바로가기
註) 027
其一 : 비명(碑銘)의 형식에 나오는 표현이다. 각 절의 끝에 그 순서를 ‘기일(其一)’, ‘기이(其二)’ 등으로 구분하여 세주(細註)를 적었다.바로가기
註) 028
承 : 萊(李宇泰, 36쪽)바로가기
註) 029
▨ : 恨(『新羅文字資料Ⅱ』, 190쪽)바로가기
註) 030
間 : 萊(李宇泰, 37쪽)바로가기
註) 031
▨ : [高](『新羅文字資料Ⅱ』, 194쪽)바로가기
註) 032
▨ : [水](李宇泰, 37쪽)바로가기
註) 033
字 : ▨(李宇泰, 36쪽)바로가기
註) 034
▨ : 安(『新羅文字資料Ⅱ』, 193쪽)바로가기
註) 035
二 : 三(『新羅文字資料Ⅱ』, 197쪽) 바로가기
註) 036
▨ : 仗(『新羅文字資料Ⅱ』, 194쪽)바로가기
註) 037
杖 : [使](李宇泰, 42쪽)바로가기
註) 038
▨ : 壹(『新羅文字資料Ⅱ』, 196쪽)바로가기
註) 039
翰林郞 : 한림(翰林)은 신라 경덕왕이 관부명을 중국식으로 고칠 때에 상문사(詳文師)에서 명칭이 바뀐 것이다. 국왕의 조서나 외교문서 등을 작성하는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바로가기
註) 040
宮 : ▨(『新羅文字資料Ⅱ』, 194쪽)바로가기
註) 041
日 : ▨(『新羅文字資料Ⅱ』, 194쪽)바로가기
註) 042
立 : ▨(『新羅文字資料Ⅱ』, 196쪽)바로가기
註) 043
▨ : 緖(『新羅文字資料Ⅱ』, 197쪽)바로가기
註) 044
▨ : 帝(『新羅文字資料Ⅱ』, 197쪽)바로가기
註) 045
▨ : 朝(『新羅文字資料Ⅱ』, 190쪽)바로가기
註) 046
造 : 告(『新羅文字資料Ⅱ』, 190쪽)바로가기
註) 047
[國] : ▨(李宇泰, 43쪽)바로가기
註) 048
[及] : ▨(『新羅文字資料Ⅱ』, 196쪽)바로가기
註) 049
▨ : 之(『新羅文字資料Ⅱ』, 196쪽)바로가기
註) 050
[回] : [宗](『新羅文字資料Ⅱ』, 196쪽)바로가기
註) 051
更 : ▨(李宇泰, 43쪽)바로가기
註) 052
巡 : ▨(李宇泰, 43쪽)바로가기
註) 053
太 : 大(『新羅文字資料Ⅱ』, 192쪽)바로가기
註) 054
太和 : 당 문종의 연호로 827~835년간 사용하였으며, 신라에서는 흥덕왕 2~10년 사이에 사용되었다.바로가기
註) 055
▨ : 辛(『新羅文字資料Ⅱ』, 192쪽)바로가기
註) 056
王 : ▨(閔泳珪, 1962, 630쪽)바로가기
註) 057
阿飡: 신라 관등의 제6위로 아척간(阿尺干), 아찬(阿粲)이라고도 하며 중아찬(重阿飡)에서 사중아찬(四重阿飡)까지 있었다.바로가기
註) 058
▨ : 之(『新羅文字資料Ⅱ』, 191쪽)바로가기
註) 059
[崔] : ▨(『新羅文字資料Ⅱ』, 196쪽)바로가기
註) 060
▨ : 侍(『新羅文字資料Ⅱ』, 193쪽)바로가기
註) 061
事 : ▨(李宇泰, 41쪽)바로가기
註) 062
▨ : 第(『新羅文字資料Ⅱ』, 194쪽)바로가기
註) 063
▨ : 二(『新羅文字資料Ⅱ』, 194쪽)바로가기
註) 064
昭成 : 신라 39대 왕인 소성왕(昭聖王)이며, 헌덕왕과 흥덕왕의 형이다. 이들에게 시해된 애장왕의 아버지이기도 하다.바로가기
註) 065
▨ : 之(閔泳珪, 1962, 629쪽)바로가기
註) 066
六十 : 흥덕왕의 죽은 해 나이로 추정된다.바로가기
註) 067
己(황수영, 1999, 96쪽)바로가기
註) 068
巳之歲 : 흥덕왕의 재위 기간에는 ‘巳’로 된 간지가 없으므로 헌덕왕 대에 태자로 책봉된 해를 가르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바로가기
註) 069
▨ : 言(閔泳珪, 1962, 629쪽)바로가기
註) 070
興德 : 비석의 제액(題額)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예서체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註) 071
郞 : 即(황수영, 1999, 96쪽)바로가기
註) 072
韓舍 : 신라 관등 제12위인 대사(大舍)의 다른 이름이다. 경주 월지에서 출토된 목간에도 ‘한사(韓舍)’라는 관등이 적혀 있다.바로가기
註) 073
稟 : 禀(閔泳珪, 1962, 629쪽; 황수영, 1999, 97쪽)바로가기
註) 074
歷 : 𠪾(황수영, 1999 97쪽)바로가기
註) 075
嶷 : ▨(황수영, 1999 97쪽)바로가기
註) 076
泰 : {夫+小}(황수영, 1999, 98쪽)바로가기
註) 077
寺 : 等(崔鉛植, 425쪽; 황수영, 1999, 98쪽)바로가기
註) 078
頌 : 領(崔鉛植, 425쪽; 황수영, 1999, 98쪽)바로가기
註) 079
皇 : [白](李宇泰, 41쪽)바로가기
註) 080
木 : [林](李宇泰, 41쪽)바로가기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한국고대금석문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