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명 |
경주 흥덕왕릉 비편
(慶州 興德王陵 碑片)
|
소재지/출토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등
경북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 42 흥덕왕릉
|
연대 |
836년(희강왕 원년) 이후
|
크기 |
글자 크기 2.5㎝
|
서체 및 재질 |
구양순 해서체
화강암
|
주제분류 |
통일신라|문화> 문화재> 금석문> 碑文|비문
|
찬자 / 서자 / 각자 |
미상
|
판독자
|
김재홍
|
판독문 일람
판독문 일람 |

|
교감판독문
가.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01〉
[01] ×▨▨×
[02] ×太祖星漢×
[03] ×品物×
〈02〉
[01] ×大命在於俟×
[02] ×卄四代孫⎵×
[03] ×▨粹⎵⎵×
[04] ×業×
〈03〉
[01] ×▨▨×
[02] ×除副將軍×
[03] ×飡驍騎將軍叡恭▨×
[04] ×⎵憲德大王寢膳有×
[05] ×宗之諒闇無以加焉×
[06] ×▨▨倉庫充溢史▨×
〈04〉
[01] ×兵部侍郞×
[02] ×前執事郞×
[03] ×專知官前執事郞×
[04] ×知官前倉部×
[05] ×前×
〈05〉
[01] ×侍郞×
[02] ×執事郞中×
[03] ×郞中×
〈06〉
[01] ×君王×
[02] ×格式是皆×
[03] ×▨累徑▨×
〈07〉
[01] ×俗▨×
[02] ×要號爲▨×
[03] ×必先▨之▨×
[04] ×使守職方×
[05] ×▨▨▨×
〈08〉
[01] ×▨▨▨×
[02] ×▨聖相×
[03] ×神謀決斷×
[04] ×▨秘佛東▨×
〈09〉
[01] ×▨▨委▨▨×
[02] ×盈溢人戶富饒×
[03] ×▨⎵⎵⎵⎵王居第一×
[04] ×▨金連薩飡嘉長等×
[05] ×舒▨▨▨×
〈10〉
[01] ×不顧妻子▨×
[02] ×神共棄▨×
[03] ×▨副除×
〈11〉
[01] ×▨▨×
[02] ×▨志擅▨×
[03] ×▨之職一×
〈12〉
[01] ×之國繇▨×
[02] ×在於▨×
〈13〉
[01] ×▨請若×
[03] ×年兼×
[03] ×行內×
[04] ×官▨×
〈14〉
[01] ×▨歷數▨×
[02] ×海盛花×
[03] ×▨▨▨×
〈15〉
[01] ×四月遂×
[02] ×之成康×
[03] ×太尉×
〈16〉
[01] ×▨之▨×
[02] ×居喪水×
[03] ×▨×
〈17〉
[01] ×▨▨×
[02] ×奄焉早×
[03] ×欲爲桂▨×
〈18〉
[01] ×▨無×
[02] ×肌膚▨×
[03] ×薨于×
〈19〉
[01] ×以▨×
[02] ×督金×
[03] ×▨韓×
〈20〉
[01] ×▨▨×
[02] ×⎵⎵⎵昭成×
[03] ×宮之別寢其▨×
[04] ×克聖克神乃▨×
〈21〉
[01] ×餘力其一於×
[02] ×▨承光贊前×
[03] ×務昔殳指日克×
[04] ×▨定諡▨×
〈22〉
[01] ×▨思之不▨▨×
[02] ×▨貿易之人問▨×
[03] ×規諫及乎×
〈23〉
[01] ×▨鏡望×
[02] ×▨帝爲我滅▨×
[03] ×損傷目此▨×
[04] ×▨甿足見×
[05] ×是▨×
〈24〉
[01] ×我國家×
[02] ×▨爲▨×
[03] ×之仁伏×
[04] ×長史撫而×
[05] ×▨▨×
〈25〉
[01] ×▨有日▨×
[02] ×字▨×
〈26〉
[01] ×▨城中▨×
[02] ×▨感悅▨×
[03] ×▨×
〈27〉
[01] ×[姚]克一×
〈28〉
[01] ×二司撿×
〈29〉
[01] ×年加×
[02] ×▨▨×
[03] ×但念×
[04] ×六▨×
〈30〉
[01] ×▨之文意▨×
[02] ×杖持節×
[03] ×不×
〈31〉
[01] ×▨兼春×
〈32〉
[01] ×政▨×
〈33〉
[01] ×▨見×
[02] ×▨普×
〈34〉
[01] ×翰林郞×
〈35〉
[01] ×▨不×
[02] ×▨▨正×
〈36〉
[01] ×▨×
[02] ×▨確×
[03] ×▨誤×
[04] ×▨×
〈37〉
[01] ×並命赴×
[02] ×▨宮十五日×
[03] ×▨▨×
〈38〉
[01] ×敎×
〈39〉
[01] ×▨將軍×
〈40〉
[01] ×立▨×
〈41〉
[01] ×寺×
〈42〉
[01] ×得▨×
[02] ×▨×
〈43〉
[01] ×▨×
[02] ×▨七×
〈44〉
[01] ×▨ ×
[02] ×[皇]▨ ×
〈45〉
[01] ×脩×
〈46〉
[01] ×故▨×
〈47〉
[01] ×君子×
[02] ×▨×
〈48〉
[01] ×章▨×
〈49〉
[01] ×▨造×
[02] ×▨[國]▨×
〈50〉
[01] ×[及]▨×
[02] ×▨[回]▨×
〈51〉
[01] ×講×
[03] ×更和×
[03] ×▨×
〈52〉
[01] ×▨▨×
[02] ×▨[聶]▨×
[03] ×太和▨×
〈53〉
[01] ×▨▨×
[02] ×先被▨×
[03] ×旨▨×
〈54〉
[01] ×▨之▨×
[02] ×▨▨宣僚×
[03] ×▨王之妹×
〈55〉
[01] ×▨二[義]×
[02] ×[飛]之日×
〈56〉
[01] ×阿飡×
[02] ×▨×
〈57〉
[01] ×[崔] … ▨×
〈58〉
[01] ×▨司×
〈59〉
[01] ×昇▨×
〈60〉
[01] ×▨執事×
〈61〉
[01] ×駕▨×
〈62〉
[01] ×弟▨×
나. 민영규 소장
〈01〉
[01] ×⎵昭成×
[02] ×於秘×
[03] ×戶葬▨×
[04] ▨臣▨×
[05] ▨×
〈02〉
[01] ×壽六十是日也×
〈03〉
[01] ×日所▨×
[02] ×巳之歲×⎵⎵⎵冊
[03] ×化之源漢之蕭曺×
[04] ×一日憚之×
[05] ×無良將空▨×
〈04〉
[01] ×則煩×
[02] ×州▨×
〈05〉
[01] ×格▨×
[02] ×▨裕×
[03] ×▨緇×
〈06〉
[01] ×庭部×
〈07〉
[01] ×興德×
〈08〉
[01] ×郞韓舍▨×
[02] ×▨韓舍×
〈09〉
[01] ×我興德×
[02] ×▨▨之×
다. 김상기 소장
〈01〉
[01] ×▨×
[02] ×▨慘裂日▨×
[03] ×▨稟下×
[04] ×子×
〈02〉
[01] ×▨止可觀×
[02] ×氏玄功撫歷▨×
[03] ×▨之姿苞君人×
[04] ×▨政嶷之王×
라.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01〉
[01] ×泰寺頌×
마.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01〉
[01] ×▨歲×
[02] ×田苗▨×
[03] ×乃疲×
〈02〉
[01] ×▨×
[02] ×行×
[03] ×奉×
〈03〉
[01] ×皇×
[02] ×木×
바.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01〉
[01] ×是▨聽▨×
[02] ×▨▨▨×
사.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01〉
[01] ×▨及遐×
[02] ×〈引+甫〉𧦓而退×
아. 황수영 소장
〈01〉
[01] ×▨▨×
[02] ×瑞氣×
- 註 001
- 太祖星漢 : 태조성한(太祖星漢)은 신라의 시조로 등장하는 인물이지만 여러 견해가 있다. 이에 대한 해석에 따라 신라 왕실의 근원과 계통이 달라진다. 성한왕(星漢王)을 김알지(金閼智)로 보는 견해, 알지의 아들인 세한(勢漢)으로 보는 견해, 알지의 7세손으로 김씨 중 최초로 왕위에 오른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으로 보는 견해,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
- 註 002
- ⎵ : ▨(李宇泰, 36쪽)
- 註 003
- 憲德大王 : 신라 제41대 왕인 헌덕왕으로 이름은 언승(彦昇)이다. 소성왕의 동생이자 헌덕왕의 형이다.
- 註 004
- 兵部 : 병부(兵部)는 신라의 핵심적인 중앙관부로서 다른 관부에 비해 이른 시기인 법흥왕 3년(516)에 처음 설립되었다. 장관은 영(令)이며, 차관은 시랑(侍郞)이라고 하였다.
- 註 005
- 郞 : ▨(李宇泰, 39쪽)
- 註 006
- 執事郞 : 통일신라시대 집사성(執事省)은 원래 품주(稟主)가 명칭이 변한 관부였다. 품주는 진덕왕 5년(651)에 집사부(執事部)로 되었다가 흥덕왕 4년(829)에 집사성으로 되었다. 장관은 중시(中侍)였고 그 아래에 전대등(典大等), 대사(大舍), 사지(舍知) 등이 있었으며, 경덕왕 때에 당나라 문하성(門下省)의 관직을 모방하여 각각 시중(侍中), 시랑(侍郞), 낭중(郎中), 원외랑(員外郞) 등으로 개칭하였다.
- 註 007
- 專知官 : 담당 관원이란 뜻이다.
- 註 008
- 倉部 : 진덕왕 5년(651)에 품주(稟主)에서 갈라져 나와 처음 설치되었으며, 장관은 영(令)으로 2인이 배치되었다.
- 註 009
- 王 : 主(崔鉛植, 421쪽)
- 註 010
- 秘 : 祕(閔泳珪, 1962, 630쪽)
- 註 011
- 薩飡 : 신라 관등 제 8위인 사찬(沙飡)의 다른 명칭이다.
- 註 012
- ▨ : 余(『新羅文字資料Ⅱ』, 195쪽)
- 註 013
- ▨ : [允](李宇泰, 38쪽)
- 註 014
- 除 : 際(황수영, 1999, 99쪽)
- 註 015
- 職 : 軄(황수영, 1999, 99쪽)
- 註 016
- ▨ : 具(『新羅文字資料Ⅱ』, 191쪽)
- 註 017
- ▨ : 識(『新羅文字資料Ⅱ』, 193쪽)
- 註 018
- 內 : 𠔿(황수영, 1999, 100쪽), 囚(『新羅文字資料Ⅱ』, 193쪽)
- 註 019
- ▨ : [先](『新羅文字資料Ⅱ』, 193쪽)
- 註 020
- ▨ : [應](李宇泰, 39쪽; 『新羅文字資料Ⅱ』, 190쪽)
- 註 021
- 花 : 化(황수영, 1999, 100쪽)
- 註 022
- ▨ : [合](『新羅文字資料Ⅱ』, 190쪽)
- 註 023
- 太尉 : 흥덕왕은 즉위 이듬해에 당나라로부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검교태위(檢校太尉) 사지절(使持節) 대도독(大都督) 계림주제군사(鷄林州諸軍事) 겸 지절충영해군사(持節充寧海軍使) 신라왕(新羅王)’으로 책봉되었다. 비문의 ‘태위’는 그 일부로 보이며, 흥덕왕을 지칭한다.
- 註 024
- ▨ : 有(李宇泰, 39쪽; 『新羅文字資料Ⅱ』, 190쪽)
- 註 025
- ▨ : 大(『新羅文字資料Ⅱ』, 192쪽), [大](李宇泰, 39쪽)
- 註 026
- ▨ : [降](『新羅文字資料Ⅱ』, 195쪽)
- 註 027
- 其一 : 비명(碑銘)의 형식에 나오는 표현이다. 각 절의 끝에 그 순서를 ‘기일(其一)’, ‘기이(其二)’ 등으로 구분하여 세주(細註)를 적었다.
- 註 028
- 承 : 萊(李宇泰, 36쪽)
- 註 029
- ▨ : 恨(『新羅文字資料Ⅱ』, 190쪽)
- 註 030
- 間 : 萊(李宇泰, 37쪽)
- 註 031
- ▨ : [高](『新羅文字資料Ⅱ』, 194쪽)
- 註 032
- ▨ : [水](李宇泰, 37쪽)
- 註 033
- 字 : ▨(李宇泰, 36쪽)
- 註 034
- ▨ : 安(『新羅文字資料Ⅱ』, 193쪽)
- 註 035
- 二 : 三(『新羅文字資料Ⅱ』, 197쪽)
- 註 036
- ▨ : 仗(『新羅文字資料Ⅱ』, 194쪽)
- 註 037
- 杖 : [使](李宇泰, 42쪽)
- 註 038
- ▨ : 壹(『新羅文字資料Ⅱ』, 196쪽)
- 註 039
- 翰林郞 : 한림(翰林)은 신라 경덕왕이 관부명을 중국식으로 고칠 때에 상문사(詳文師)에서 명칭이 바뀐 것이다. 국왕의 조서나 외교문서 등을 작성하는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註 040
- 宮 : ▨(『新羅文字資料Ⅱ』, 194쪽)
- 註 041
- 日 : ▨(『新羅文字資料Ⅱ』, 194쪽)
- 註 042
- 立 : ▨(『新羅文字資料Ⅱ』, 196쪽)
- 註 043
- ▨ : 緖(『新羅文字資料Ⅱ』, 197쪽)
- 註 044
- ▨ : 帝(『新羅文字資料Ⅱ』, 197쪽)
- 註 045
- ▨ : 朝(『新羅文字資料Ⅱ』, 190쪽)
- 註 046
- 造 : 告(『新羅文字資料Ⅱ』, 190쪽)
- 註 047
- [國] : ▨(李宇泰, 43쪽)
- 註 048
- [及] : ▨(『新羅文字資料Ⅱ』, 196쪽)
- 註 049
- ▨ : 之(『新羅文字資料Ⅱ』, 196쪽)
- 註 050
- [回] : [宗](『新羅文字資料Ⅱ』, 196쪽)
- 註 051
- 更 : ▨(李宇泰, 43쪽)
- 註 052
- 巡 : ▨(李宇泰, 43쪽)
- 註 053
- 太 : 大(『新羅文字資料Ⅱ』, 192쪽)
- 註 054
- 太和 : 당 문종의 연호로 827~835년간 사용하였으며, 신라에서는 흥덕왕 2~10년 사이에 사용되었다.
- 註 055
- ▨ : 辛(『新羅文字資料Ⅱ』, 192쪽)
- 註 056
- 王 : ▨(閔泳珪, 1962, 630쪽)
- 註 057
- 阿飡: 신라 관등의 제6위로 아척간(阿尺干), 아찬(阿粲)이라고도 하며 중아찬(重阿飡)에서 사중아찬(四重阿飡)까지 있었다.
- 註 058
- ▨ : 之(『新羅文字資料Ⅱ』, 191쪽)
- 註 059
- [崔] : ▨(『新羅文字資料Ⅱ』, 196쪽)
- 註 060
- ▨ : 侍(『新羅文字資料Ⅱ』, 193쪽)
- 註 061
- 事 : ▨(李宇泰, 41쪽)
- 註 062
- ▨ : 第(『新羅文字資料Ⅱ』, 194쪽)
- 註 063
- ▨ : 二(『新羅文字資料Ⅱ』, 194쪽)
- 註 064
- 昭成 : 신라 39대 왕인 소성왕(昭聖王)이며, 헌덕왕과 흥덕왕의 형이다. 이들에게 시해된 애장왕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 註 065
- ▨ : 之(閔泳珪, 1962, 629쪽)
- 註 066
- 六十 : 흥덕왕의 죽은 해 나이로 추정된다.
- 註 067
- 己(황수영, 1999, 96쪽)
- 註 068
- 巳之歲 : 흥덕왕의 재위 기간에는 ‘巳’로 된 간지가 없으므로 헌덕왕 대에 태자로 책봉된 해를 가르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 註 069
- ▨ : 言(閔泳珪, 1962, 629쪽)
- 註 070
- 興德 : 비석의 제액(題額)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예서체로 되어 있다.
- 註 071
- 郞 : 即(황수영, 1999, 96쪽)
- 註 072
- 韓舍 : 신라 관등 제12위인 대사(大舍)의 다른 이름이다. 경주 월지에서 출토된 목간에도 ‘한사(韓舍)’라는 관등이 적혀 있다.
- 註 073
- 稟 : 禀(閔泳珪, 1962, 629쪽; 황수영, 1999, 97쪽)
- 註 074
- 歷 : 𠪾(황수영, 1999 97쪽)
- 註 075
- 嶷 : ▨(황수영, 1999 97쪽)
- 註 076
- 泰 : {夫+小}(황수영, 1999, 98쪽)
- 註 077
- 寺 : 等(崔鉛植, 425쪽; 황수영, 1999, 98쪽)
- 註 078
- 頌 : 領(崔鉛植, 425쪽; 황수영, 1999, 98쪽)
- 註 079
- 皇 : [白](李宇泰, 41쪽)
- 註 080
- 木 : [林](李宇泰, 41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