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濟 聖明王의 任那·新羅에 대한 세 가지 계책
11월 백제가 사신을 보내어 日本府 臣과 任那 執事를 불러, “천황에게 조알하기 위하여 보낸 奈率
得文·許勢의 奈率
奇麻·物部의 奈率
奇非 등이 일본으로부터 돌아왔다. 이제 日本府 臣과 任那國 執事는 마땅히 와서 勅을 듣고 함께 任那의 문제를 논의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日本의 吉備臣, 安羅의 下旱岐
大不孫과 久取柔利, 加羅의 上首位
古殿奚, 卒麻君, 斯二岐君, 散半奚君의 아이,註 001 多羅註 002의 二首位
訖乾智, 子他註 003旱岐, 久嗟註 004旱岐가 이에 백제에 나아갔다. 이 때 백제왕 聖明註 005이 대략 詔書를 보이며, “내가 奈率
彌麻佐·奈率
己連·奈率
用奇多 등을 보내어 일본에 조공하였는데, (천황이) 조를 내려 ‘조속히 任那를 건설하라’고 하였다. 또 津守連이 칙을 받들어 任那를 만드는 일을 물으므로 (사신을) 보내 (그대들을) 불렀다. 마땅히 어떻게 해야 任那를 세울 수 있겠는가. 각각 자신의 계책을 말하여 주기를 바란다”고 말하였다. 吉備臣·任那旱岐 등이 “무릇 任那國을 세우는 일은 오직 대왕에게 달려 있습니다. 왕을 따르고자 하니 모두 갖추어 아뢰어 (천황의) 勅을 듣도록 합시다”라고 말하였다. 聖明王이 이들에게 일러, “任那라는 나라는 우리 백제와 예로부터 子弟가 되기를 약속하였다. 이제 日本府
印岐彌
任那에 있던 日本 신하의 이름이다가 이미 신라를 토벌하고 다시 장차 우리(백제)를 치려고 하며, 또 신라의 허망한 거짓말을 즐겨 듣는다. 무릇 印支彌를 任那에 보낸 것은 본래 그 나라를 침탈하여 해롭게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었다자세하지 않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신라는 무도하며 약속을 어기고 신의를 거스려 卓淳을 멸망시켰다. 충직한 나라를 속히 회복코자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도리어 후회할 것이다. 그러므로 사신을 보내어 (日本府의 臣과 任那의 執事를) 오게 하여 함께 恩詔를 받들어, 任那의 나라를 일으켜 맥을 잇고 옛날처럼 길이 형제가 되기를 바랬다. 가만히 듣건대 新羅·安羅 두 나라 사이에는 큰 강註 006이 있어 적을 방비하기 좋은 곳이라 한다. 내가 이를 차지하여 6성을 수축하려고,註 007 삼가 천황에게 3천 병사를 청하여 매성마다 5백 명씩 배치하고 아울러 우리 병사들이 (신라인들로 하여금) 농사를 짓지 못하도록 하려는데, 걱정스러운 것은 久禮山의 5城이 거의 무기를 버리고 항복하였다는 점이다. 卓淳의 나라 또한 다시 부흥시켜야 할 것이니, 청한 병사는 내가 옷과 식량을 지급할 것이다. 이를 천황에게 주청하고자 하는 계책이 첫째이다. 오히려 南韓註 008에 郡令과 城主를 두는 것이 어찌 천황을 거스려 貢調의 길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이겠는가. 다만 바라는 바는 많은 어려움을 이기고 강적(고구려)을 물리치는 것이니, 무릇 그 흉칙한 무리들이 누구인들 부용하려고 꾀하지 않겠는가. 북쪽의 적(고구려)은 강대하고 우리나라는 미약하니, 만일 南韓에 郡令·城主를 설치하여 방호시설을 수리하지 않는다면 이 강적을 방어할 수 없을 것이며, 또한 신라를 제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오히려 이들을 두어 신라를 공격 핍박하여 임나를 위로하고 휼문할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멸망을 당해 조빙할 수 없을까 두렵다. 이를 천황에게 주청하고자 하니 그 책략의 둘째이다. 또 吉備臣·河內直·移那斯·麻都가 오히려 任那國에 있기 때문에, 천황이 비록 조를 내려 任那를 세우라 하였으나 이를 시행할 수 없었다. 이 4명을 옮겨 각각 그 本邑에 돌려보낼 것을 천황에게 아뢰어 청하는 것이 그 계책의 셋째이다. 마땅히 日本 臣·任那 旱岐 등과 더불어 모두 받들어 사신을 보내어 함께 천황에게 아뢰고 恩詔를 들을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하였다. 이에 吉備臣과 旱岐 등이, “大王이 말한 세 가지 책략은 또한 우리의 뜻과 같을 뿐입니다. 이제 돌아가 日本 大臣任那에 있는 日本府의 大臣을 일컫는다, 安羅王·加羅王에게 공경히 아뢰고 모두 사신을 보내어 함께 천황에게 주청하기를 원합니다. 이는 진실로 천 년에 한 번 올 정도의 기회로, 깊이 생각하고 자세히 계획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하였다.
註) 003
국가명
- 백제(百濟)
- 가야(加耶)
- 한(韓)
주제분류
- 정치>군사>전쟁>전쟁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