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년(392) 봄 정월에 고구려에서 사신을 보냈다. 왕은 고구려가 강성하였기 때문에 이찬(伊湌) 대서지(大西知)註 001001 대서지(大西知): 본서 권3 신라본기1 실성이사금 즉위년(402) 2월조의 주석 참조.닫기의 아들 실성(實聖)註 002002 실성(實聖): 본서 권3 신라본기1 실성이사금 즉위년(402) 2월조의 주석 참조.닫기을 보내 볼모로 삼았다.註 003003 고구려에서 … 볼모로 삼았다: 본서 권18 고구려본기6 고국양왕 9년(391)조에 같은 내용이 전해져 신라본기와는 1년의 차이가 난다. 신라에서는 나물왕이 석씨계와 연결된 실성을 견제하기 위해 볼모 파견을 활용한 것으로 이해되며(金哲埈, 1952: 1990, 127쪽), 고구려의 입장에서는 대대적인 백제 정벌을 앞두고 신라를 고구려의 영향권 아래 강하게 종속시킬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보는 견해(장창은, 87쪽)가 있다. 〈참고문헌〉 金哲埈, 1952, 「新羅 上代社會의 Dual Organization」, 『歷史學報』 1·2: 1990, 『韓國古代社會硏究』, 서울大學校 出版部 장창은, 2008, 「김씨왕실의 개창과 고구려의 내정간섭」, 『신라 상고기 정치변동과 고구려 관계』, 신서원닫기
고구려에서 … 볼모로 삼았다: 본서 권18 고구려본기6 고국양왕 9년(391)조에 같은 내용이 전해져 신라본기와는 1년의 차이가 난다. 신라에서는 나물왕이 석씨계와 연결된 실성을 견제하기 위해 볼모 파견을 활용한 것으로 이해되며(金哲埈, 1952: 1990, 127쪽), 고구려의 입장에서는 대대적인 백제 정벌을 앞두고 신라를 고구려의 영향권 아래 강하게 종속시킬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보는 견해(장창은, 87쪽)가 있다. 〈참고문헌〉 金哲埈, 1952, 「新羅 上代社會의 Dual Organization」, 『歷史學報』 1·2: 1990, 『韓國古代社會硏究』, 서울大學校 出版部 장창은, 2008, 「김씨왕실의 개창과 고구려의 내정간섭」, 『신라 상고기 정치변동과 고구려 관계』, 신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