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474)〕 가을 7월에 고구려왕 거련(巨連)註 001001 거련(巨連): 고구려 제20대 장수왕(長壽王)으로 재위 기간은 413~491년이다. 본서 권18 고구려본기6 장수왕 즉위년(413)조에는 그의 이름이 거련(巨連)이며 연(璉)이라고도 한다고 되어 있다.닫기이 직접 군사를 거느리고 백제를 공격하였다. 백제왕 경(慶)註 002002 경(慶): 백제 제21대 개로왕(蓋鹵王)으로 재위 기간은 455~475년이다. 본서 권25 백제본기3 개로왕 즉위년(455)조에는 그의 이름이 경사(慶司)라고 되어 있다.닫기이 아들 문주(文周)註 003003 문주(文周): 백제 개로왕(蓋鹵王)의 동생으로 475년 한성(漢城)이 함락당하고 개로왕이 사망하면서 왕위에 올라 웅진(熊津)으로 천도를 하였다. 문주왕(文周王)은 백제 제22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455~475년이다. 본서 백제본기와 『삼국유사』에는 그가 개로왕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지만, 『일본서기(日本書紀)』 권14, 웅략기(雄略紀) 21년조에는 ‘문주왕(汶洲王)이 개로왕의 동모제[母弟]’라고 되어 있다. 문주가 개로왕대에 상좌평(上佐平)으로 활약하였다는 것과 보국장군(輔國將軍)의 직함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문주를 개로왕의 동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닫기를 〔신라에〕 보내 도움을 요청하였다. 왕이 군사를 내어 구해주려고 하였으나 〔신라군이〕 미처 도착하기 전에 백제가 이미 〔고구려에〕 함락되었고 경(慶) 또한 살해되었다.註 004004 고구려 왕 거련(巨連)이 … 살해되었다: 고구려의 백제 한성(漢城) 함락 사실은 본서 권15 고구려본기6 장수왕 63년(475)조와 본서 권25 백제본기3 개로왕 21년(475)조에 실려 있는데 신라본기와는 1년의 차이가 난다. 이 중 백제본기의 내용이 가장 풍부하여 그것이 원전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고구려의 백제 한성 함락은 일반적으로 475년의 사실로 본다.닫기
문주(文周): 백제 개로왕(蓋鹵王)의 동생으로 475년 한성(漢城)이 함락당하고 개로왕이 사망하면서 왕위에 올라 웅진(熊津)으로 천도를 하였다. 문주왕(文周王)은 백제 제22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455~475년이다. 본서 백제본기와 『삼국유사』에는 그가 개로왕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지만, 『일본서기(日本書紀)』 권14, 웅략기(雄略紀) 21년조에는 ‘문주왕(汶洲王)이 개로왕의 동모제[母弟]’라고 되어 있다. 문주가 개로왕대에 상좌평(上佐平)으로 활약하였다는 것과 보국장군(輔國將軍)의 직함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문주를 개로왕의 동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고구려 왕 거련(巨連)이 … 살해되었다: 고구려의 백제 한성(漢城) 함락 사실은 본서 권15 고구려본기6 장수왕 63년(475)조와 본서 권25 백제본기3 개로왕 21년(475)조에 실려 있는데 신라본기와는 1년의 차이가 난다. 이 중 백제본기의 내용이 가장 풍부하여 그것이 원전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고구려의 백제 한성 함락은 일반적으로 475년의 사실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