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벌하다
(
512년
06월
)
13년(512) 여름 6월에 우산국(于山國)註 001이 항복하여 복속하고 해마다 토산물[土宜]을 공물로 바쳤다.註 002 우산국은 명주(溟州)註 003의 정동쪽 바다에 있는 섬으로, 혹은 울릉도(鬱陵島)라고도 부른다. 땅은 사방 100리인데, 〔지세가〕 험한 것을 믿고 복종하지 않았다. 이찬(伊飡) 이사부(異斯夫)가 하슬라주(何瑟羅州) 군주(軍主)註 004가 되어 이르기를, “우산국 사람들은 어리석고도 사나워서 위력(威力)으로는 오게 하기 어렵지만, 꾀를 쓰면 굴복시킬 수 있다.”라고 하였다. 이에 나무로 사자(師子) 모형을 많이 만들어註 005 전선(戰船)에 나누어 싣고 그 나라 해안에 이르러 거짓으로 알리기를, “너희들이 만약 항복하지 않는다면, 곧 이 맹수를 풀어서 밟아 죽이겠다.”라고 하였다. 나라 사람들이 몹시 두려워 곧바로 항복하였다.註 006
우산국(于山國): 『삼국유사』 권제1 기이제2 지철로왕조에 우릉도(于陵島)를 우릉(羽陵)이라고 쓴다고 전하며. 『고려사』에서는 무릉(武陵), 우릉(羽陵), 우릉도(芋陵島)라고도 부른다고 하였다.
하슬라주(何瑟羅州) 군주(軍主): 진흥왕 22년(561)에 건립된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에 상주(上州), 하주(下州)가 보인다. 본서 권제4 신라본기제4 진흥왕 14년(553) 7월조에 “백제의 동북쪽 변두리를 빼앗아 신주(新州)를 설치하였다.”라고 전하는데, 이를 통해 553년 이전에 신라 영토에 상주와 하주를 설치하였다고 추론할 수 있다. 결국 553년까지 신라에 상주와 하주, 신주만이 존재하였으므로, 지증왕 13년(512)에 하슬라주를 설치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지증왕 6년(505) 2월에서 513년 사이에 실직지역에 주둔하였던 정군단이 하슬라지역으로 옮겨왔고, 이에 따라 이사부의 직함도 실직군주에서 하슬라군주로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 아마도 중대에 군주(軍州)를 주(州)의 장관으로 이해하고, 군주가 머문 하슬라지역을 마치 중대의 주치(州治)처럼 파악한 다음, 지증왕 13년(512) 이전 어느 시기에 하슬라주를 설치하였다고 판단하고, 하슬라군주를 하슬라주군주로 개서한 것으로 짐작된다(전덕재, 2018,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주류성, 69~73쪽).
나무로 사자(師子) 모형을 많이 만들어: 본래 중국의 중원지방에서는 사자(獅子)가 살지 않는다. 한나라 때 장건(張騫) 일행이 서역과 통한 이후에 서역의 여러 나라에서 사자를 바쳤고, 그 후에 비로소 중국에 사자의 존재가 널리 알려졌다. 중국에서 사자는 악귀(惡鬼)를 쫓는 영수(靈獸)로 인식되었고, 이 때문에 사자가 능묘(陵墓)의 석수(石獸)나 진묘수(鎭墓獸)로 널리 제작되었으며, 나아가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영수로도 인식되어 불상이나 불탑 앞에 세워두는 경우가 많았다(林玲愛). 이 같은 전통은 고구려와 신라에도 그대로 전해졌는데, 신라의 분황사탑에 사자상을 안치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고구려의 장천1호분 벽화에서 사자좌 위에 앉아 있는 부처 앞에 좌우에 혀를 내밀고 꼬리는 위로 들어 올린 사자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국립경주박물관). 512년 당시에 울릉도 사람들이 사자를 직접 보았을 가능성은 적다고 보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사자가 맹수(猛獸)로서 사람들에게 위협적인 존재라고 인식한 사실을 통해 6세기 무렵에 신라사회에서 사자가 모든 악귀를 물리칠 수 있는 벽사(辟邪)의 영수로서 널리 받아들여졌음을 추론할 수 있다.
〈참고문헌〉
국립경주박물관, 2006 『신라의 사자』
林玲愛, 2007, 「중국 고분 속 鎭墓獸의 양상과 불교적 변형」, 『美術史論壇』 25
〈참고문헌〉
국립경주박물관, 2006 『신라의 사자』
林玲愛, 2007, 「중국 고분 속 鎭墓獸의 양상과 불교적 변형」, 『美術史論壇』 25
註) 001
우산국(于山國): 『삼국유사』 권제1 기이제2 지철로왕조에 우릉도(于陵島)를 우릉(羽陵)이라고 쓴다고 전하며. 『고려사』에서는 무릉(武陵), 우릉(羽陵), 우릉도(芋陵島)라고도 부른다고 하였다.
註) 002
註) 003
註) 004
하슬라주(何瑟羅州) 군주(軍主): 진흥왕 22년(561)에 건립된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에 상주(上州), 하주(下州)가 보인다. 본서 권제4 신라본기제4 진흥왕 14년(553) 7월조에 “백제의 동북쪽 변두리를 빼앗아 신주(新州)를 설치하였다.”라고 전하는데, 이를 통해 553년 이전에 신라 영토에 상주와 하주를 설치하였다고 추론할 수 있다. 결국 553년까지 신라에 상주와 하주, 신주만이 존재하였으므로, 지증왕 13년(512)에 하슬라주를 설치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지증왕 6년(505) 2월에서 513년 사이에 실직지역에 주둔하였던 정군단이 하슬라지역으로 옮겨왔고, 이에 따라 이사부의 직함도 실직군주에서 하슬라군주로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 아마도 중대에 군주(軍州)를 주(州)의 장관으로 이해하고, 군주가 머문 하슬라지역을 마치 중대의 주치(州治)처럼 파악한 다음, 지증왕 13년(512) 이전 어느 시기에 하슬라주를 설치하였다고 판단하고, 하슬라군주를 하슬라주군주로 개서한 것으로 짐작된다(전덕재, 2018,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주류성, 69~73쪽).
註) 005
나무로 사자(師子) 모형을 많이 만들어: 본래 중국의 중원지방에서는 사자(獅子)가 살지 않는다. 한나라 때 장건(張騫) 일행이 서역과 통한 이후에 서역의 여러 나라에서 사자를 바쳤고, 그 후에 비로소 중국에 사자의 존재가 널리 알려졌다. 중국에서 사자는 악귀(惡鬼)를 쫓는 영수(靈獸)로 인식되었고, 이 때문에 사자가 능묘(陵墓)의 석수(石獸)나 진묘수(鎭墓獸)로 널리 제작되었으며, 나아가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영수로도 인식되어 불상이나 불탑 앞에 세워두는 경우가 많았다(林玲愛). 이 같은 전통은 고구려와 신라에도 그대로 전해졌는데, 신라의 분황사탑에 사자상을 안치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고구려의 장천1호분 벽화에서 사자좌 위에 앉아 있는 부처 앞에 좌우에 혀를 내밀고 꼬리는 위로 들어 올린 사자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국립경주박물관). 512년 당시에 울릉도 사람들이 사자를 직접 보았을 가능성은 적다고 보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사자가 맹수(猛獸)로서 사람들에게 위협적인 존재라고 인식한 사실을 통해 6세기 무렵에 신라사회에서 사자가 모든 악귀를 물리칠 수 있는 벽사(辟邪)의 영수로서 널리 받아들여졌음을 추론할 수 있다.
〈참고문헌〉
국립경주박물관, 2006 『신라의 사자』
林玲愛, 2007, 「중국 고분 속 鎭墓獸의 양상과 불교적 변형」, 『美術史論壇』 25
〈참고문헌〉
국립경주박물관, 2006 『신라의 사자』
林玲愛, 2007, 「중국 고분 속 鎭墓獸의 양상과 불교적 변형」, 『美術史論壇』 25
주제분류
- 정치>군사>전쟁>전쟁결과
- 정치>외교>사신>조공
- 정치>군사>군사조직>군사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