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죽이다
(
371년
)
〔26년(371)〕 겨울에 왕이 태자와 정예 군사 30,000명을 이끌고 고구려를 쳤다. 평양성(平壤城)註 001을 공격하니 고구려 왕 사유(斯由)가 힘껏 싸우며 막다가 날아오는 화살에 맞아 죽었다.註 002 왕이 군사를 이끌고 물러났다.
평양성(平壤城) : 이때의 평양성 위치에 대해 북한에서는 황해도 재령군의 장수산성 인근이라는 견해(채희국, 47쪽; 손영종, 174~187쪽)가 주류이다. 패하를 예성강에 비정하는 입장에서 장수산성 남쪽의 도시유적에 주목한 것인데, 이곳에는 석실분 1천여기가 분포한 것으로 알려진다. 대동강 하류지역에 위치한 황주 토성리의 주거지에서 다량의 백제계 토기가 출토된 것(崔鍾澤, 1990)을 근거로 근초고왕 때 백제가 공격한 평양성을 지금의 평양시에 비정하는 견해도 있다(김기섭, 156~158쪽). 4세기 후반경의 평양성은 고구려가 6세기 말엽에 축조한 장안성(長安城; 조선시대의 평양성)과 다른 곳이며, 장안성과 대성산성 사이에 위치한 청암리토성에 비정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채희국, 1982, 『高句麗歷史硏究』,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손영종, 1990, 『고구려사 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崔鍾澤, 1990, 「黃州出土百濟土器例」, 『韓國上古史學報』 4
김기섭, 2000,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참고문헌〉
채희국, 1982, 『高句麗歷史硏究』,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손영종, 1990, 『고구려사 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崔鍾澤, 1990, 「黃州出土百濟土器例」, 『韓國上古史學報』 4
김기섭, 2000,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註) 001
평양성(平壤城) : 이때의 평양성 위치에 대해 북한에서는 황해도 재령군의 장수산성 인근이라는 견해(채희국, 47쪽; 손영종, 174~187쪽)가 주류이다. 패하를 예성강에 비정하는 입장에서 장수산성 남쪽의 도시유적에 주목한 것인데, 이곳에는 석실분 1천여기가 분포한 것으로 알려진다. 대동강 하류지역에 위치한 황주 토성리의 주거지에서 다량의 백제계 토기가 출토된 것(崔鍾澤, 1990)을 근거로 근초고왕 때 백제가 공격한 평양성을 지금의 평양시에 비정하는 견해도 있다(김기섭, 156~158쪽). 4세기 후반경의 평양성은 고구려가 6세기 말엽에 축조한 장안성(長安城; 조선시대의 평양성)과 다른 곳이며, 장안성과 대성산성 사이에 위치한 청암리토성에 비정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채희국, 1982, 『高句麗歷史硏究』,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손영종, 1990, 『고구려사 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崔鍾澤, 1990, 「黃州出土百濟土器例」, 『韓國上古史學報』 4
김기섭, 2000,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참고문헌〉
채희국, 1982, 『高句麗歷史硏究』,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손영종, 1990, 『고구려사 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崔鍾澤, 1990, 「黃州出土百濟土器例」, 『韓國上古史學報』 4
김기섭, 2000,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주제분류
- 정치>군사>전쟁>전쟁결과
- 정치>군사>전쟁>전투유형
색인어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