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왕이 무진주로 행차하여 탐라의 사죄를 받다 ( 498년 08월 )
8월에 왕이 탐라가 공물과 부세를 바치지 않는다 하여 직접 정벌하려고 무진주(武珍州)註 001에 이르니註 002 탐라가 이를 듣고 사신을 보내 죄를 빌었으므로 그만두었다탐라는 곧 탐모라이다.
註) 001
무진주(武珍州) : 현재의 광주광역시로 비정된다. 무진주는 본서 권36 지리3 武州條에 의하면 신문왕 6년(686) 무진주라 고쳤고, 경덕왕 때 다시 무주라 하였다한다. 백제 당시의 지명은 본서 권37 지리4에 보이는 ‘노지(奴只)’로 보인다. 이에 무진주는 통일신라 때의 명칭이 이 시기로 소급・부회된 것으로 보는 견해(盧重國, 1991, 「漢城時代 百濟의 檐魯制 實施와 編制基準」, 『啓明史學』 2, 계명사학회, 11쪽)가 있다.바로가기
註) 002
왕이 탐라가 … 무진주에 이르니 : 동성왕이 무진주에 이른 것을 근거로 하여 이때에 와서 전라도 지역이 백제의 영역이 된 것으로 보는 견해(李道學, 1990, 305쪽)가 있다. 하지만 무진주 지역이 백제에 복속된 시기는 근초고왕대로 보는 견해(李丙燾, 1976, 511~514쪽; 千寬宇, 1991, 23쪽)가 대체로 지지를 받고 있다. 또한 탐라의 정벌을 해로가 아닌 굳이 육로로 이동한 것은 영산강 유역을 장악하려는 의도로 보기도 한다(김영심, 2000, 312쪽; 정재윤, 2016, 41쪽). 이와 더불어 탐라가 고구려와 접촉을 시도하자 이를 확실히 차단하려는 목적으로 보기도 한다(이승호, 2021, 14~21쪽).
〈참고문헌〉
李丙燾, 1976,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李道學, 1990, 「漢城 後期의 百濟王權과 支配體制의 정비」, 『百濟論叢』 2, 百濟文化開發硏究院.
千寬宇, 1991, 「復元加耶史」, 『加耶史硏究』, 一潮閣.
김영심, 2000, 「榮山江流域 古代社會와 百濟」, 『지방사와 지방문화』 3, 역사문화학회.
정재윤, 2016, 「삼국시대 나주와 영산강 유역 세력의 동향」, 『역사학연구』 62, 湖南史學會.
이승호, 2021, 「5~8세기 耽羅國의 대외교류와 진상·조공 품목」, 『東國史學』 70, 동국역사문화연구소.
바로가기
주제분류
  • 정치>왕실>국왕>활동(결혼·통치)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삼국사기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자료 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