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羅의 격파와 7國의 평정. 百濟와의 우호(千熊長彦과 百濟王의 맹세) ( 249년 03월(음) )

49년 봄 3월 荒田別鹿我別을 장군으로 삼아 久氐 등과 함께 군대를 거느리고 건너가 卓淳國에 이르러 신라를 치려고 하였다. 이 때 어떤 사람이 “군대가 적어서 신라를 깨뜨릴 수 없으니, 다시 沙白·蓋盧를 보내어 군사를 늘려 주도록 요청하십시오”라 하였다. 곧 木羅斤資001001 木羅斤資木羅는 木刕이라고도 쓰는데 백제의 8姓大族의 하나이다. 『日本書紀』에 木刕不麻甲背, 木刕眯淳, 木刕今敦, 木刕施德文次 등이 보이며 木羅斤資의 아들로 木滿致가 보이는데 『三國史記』 권 25, 蓋鹵王 21년(475)조에 “文周與木刕滿致 祖彌桀取〔木刕 祖彌皆複姓 隋書以木刕爲二姓 未知孰是〕 南行焉”이라는 기록에 나오는 木刕滿致와 木滿致는 동일 인물로 추정되고 있다.닫기沙沙奴跪에게이 두 사람은 그 姓을 모르는데 다만 木羅斤資는 백제 장군이다 精兵을 이끌고 沙白·蓋盧와 함께 가도록 명하였다. 함께 탁순국에 모여 신라를 격파하고, 比自㶱·南加羅·㖨國·安羅·多羅·卓淳·加羅의 7국002002 7國7국의 위치에 관하여 여러 가지 견해가 나와 있는데 우선 比自㶱은 경남 창령지방을 가리키는 듯하다. 「眞興王巡狩碑」 가운데 하나인 「昌寧碑」(561년 건립)에 比子伐로 나오며 『三國史記』 권 34, 地理志에 나오는 比自火郡(또는 比斯伐)이 곧 比自㶱과 같은 곳으로 믿어진다. 南加羅는 곧 낙동강 河口인 金海에 있던 本加耶를 지칭한 것으로 믿어지는데 본가야는 532년에 신라에 정식으로 병합되었다. 南加羅의 명칭은 『三國史記』 권 41, 金庾信傳에 인용되어 있는 「庾信碑」에 ‘則南加耶始祖首露’라는 기록이 보인다. 㖨國은 㖨己呑國과 같은 것으로 大邱 부근의 慶山지방으로 추정해 왔으나, 최근 이를 경남의 靈山, 密陽 일대의 한 지역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에 따르면 㖨國은 6세기 전반까지 가야연맹을 구성하고 있던 小國으로 529년을 전후한 2 ~ 3년 사이에 가장 먼저 신라에 병합되었다고 한다. 安羅는 경남 咸安으로 보고 있는데 『三國史記』 권 34, 地理志에서 咸安郡을 阿尸良國(또는 阿那加耶)이라 하였고 『三國遺事』 권 1의 五伽耶조에는 阿羅伽耶를 당시의 咸安이라고 하였다. 多羅는 경남 陜川지역에 있던 가야 소국으로 『三國史記』 권 34, 지리지 江陽郡조에 본래 大良(또는 耶)州郡인데 경덕왕 때에 이름을 바꾸었으며 지금의 陜州라고 하였다. 卓淳은 대개 오늘날의 大邱 부근으로 보아 왔으나 이를 경남 창원지방에 있던 가야 소국으로 보는 새로운 견해가 있다. 加羅는 경북 高靈지방에 있던 大加耶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7국 平定의 주체는 왜가 아니라 百濟軍의 가야지역에 대한 작전을 기록한 것으로, 이 때 가야 여러 나라는 백제의 세력권 속에 들어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닫기을 평정하였다. 또 군대를 옮겨 서쪽으로 돌아 古奚津003003 古奚津古奚는 『三國志』 東夷傳 馬韓조에 보이는 狗奚國으로서 오늘날의 전남 康津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으며, 또는 狗奚國을 전남 海南으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다.닫기에 이르러 남쪽의 오랑캐 忱彌多禮004004 忱彌多禮應神天皇 8년조의 百濟記에도 보이는데 『隋書』 등에 耽羅로 기록된 오늘날의 제주도로 보는 견해가 있으며, 앞의 古奚津의 중심되는 부락으로서 康津 일대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닫기를 무찔러 백제에게 주었다. 이에 백제왕 肖古와 왕자 貴須005005 貴須近仇首王을 가리킨다.닫기가 군대를 이끌고 와서 만났다. 이 때 比利·辟中·布彌支·半古의 4읍006006 4邑4邑의 위치에 관해서는 대개 이를 전라도 지방으로 비정하고 있는데, 布彌支辟中은 각각 오늘날의 羅州와 寶城으로 비정되고 있으며 이는 백제 近肖古王(346 ~ 375)이 馬韓을 멸하여 전라도 남해안까지 영토를 확장한 것으로 이 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천관우는 比利 등 4읍을 比利·辟中·布彌·支半·古四의 5읍으로 읽어 이를 각각 扶安(保安)·金堤·井邑·扶安·井邑(古阜)에 비정하였다.닫기이 스스로 항복하였다. 그래서 백제왕 父子와 荒田別·木羅斤資 등이 意流村007007 意流村백제의 始祖 溫祚가 도읍을 정했던 尉禮城과 音이 비슷하므로 백제국의 聖地로서 王都 漢城을 지칭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닫기지금은 州流須祇라 한다에서 함께 서로 만나 기뻐하고 후하게 대접하여 보냈다. 오직 千熊長彦과 백제왕은 백제국에 이르러 辟支山008008 辟支山백제의 옛 지명으로 오늘날의 전북 김제로 비정된다. 『三國志』 魏志 東夷傳에 보이는 馬韓의 한 국가인 辟卑離國, 『南齊書』 百濟傳에 보이는 辟中, 『三國史記』에 보이는 辟城·碧骨과 같은 곳으로 짐작된다.닫기에 올라가 맹세하였다. 다시 古沙山009009 古沙山『三國史記』 권 36, 地理志에 古阜郡을 본래 백제의 古眇(沙의 잘못인 듯)夫里郡이라 하였으므로 古沙山도 오늘날의 전북 古阜지방으로 비정하고 있다.닫기에 올라가 함께 반석 위에 앉아서 백제왕이 “만약 풀을 깔아 자리를 만들면 불에 탈까 두렵고 또 나무로 자리를 만들면 물에 떠내려갈까 걱정된다. 그러므로 반석에 앉아 맹세하는 것은 오래도록 썩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니, 지금 이후로는 천 년 만 년 영원토록 늘 서쪽 번국이라 칭하며 봄 가을로 조공하겠다”라고 맹세하였다. 그리고 千熊長彦을 데리고 도읍에 이르러 후하게 예우를 더하고 久氐 등을 딸려서 보냈다.

註 001
木羅斤資 : 木羅는 木刕이라고도 쓰는데 백제의 8姓大族의 하나이다. 『日本書紀』에 木刕不麻甲背, 木刕眯淳, 木刕今敦, 木刕施德文次 등이 보이며 木羅斤資의 아들로 木滿致가 보이는데 『三國史記』 권 25, 蓋鹵王 21년(475)조에 “文周與木刕滿致 祖彌桀取〔木刕 祖彌皆複姓 隋書以木刕爲二姓 未知孰是〕 南行焉”이라는 기록에 나오는 木刕滿致와 木滿致는 동일 인물로 추정되고 있다.
註 002
7國 : 7국의 위치에 관하여 여러 가지 견해가 나와 있는데 우선 比自㶱은 경남 창령지방을 가리키는 듯하다. 「眞興王巡狩碑」 가운데 하나인 「昌寧碑」(561년 건립)에 比子伐로 나오며 『三國史記』 권 34, 地理志에 나오는 比自火郡(또는 比斯伐)이 곧 比自㶱과 같은 곳으로 믿어진다. 南加羅는 곧 낙동강 河口인 金海에 있던 本加耶를 지칭한 것으로 믿어지는데 본가야는 532년에 신라에 정식으로 병합되었다. 南加羅의 명칭은 『三國史記』 권 41, 金庾信傳에 인용되어 있는 「庾信碑」에 ‘則南加耶始祖首露’라는 기록이 보인다. 㖨國은 㖨己呑國과 같은 것으로 大邱 부근의 慶山지방으로 추정해 왔으나, 최근 이를 경남의 靈山, 密陽 일대의 한 지역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에 따르면 㖨國은 6세기 전반까지 가야연맹을 구성하고 있던 小國으로 529년을 전후한 2 ~ 3년 사이에 가장 먼저 신라에 병합되었다고 한다. 安羅는 경남 咸安으로 보고 있는데 『三國史記』 권 34, 地理志에서 咸安郡을 阿尸良國(또는 阿那加耶)이라 하였고 『三國遺事』 권 1의 五伽耶조에는 阿羅伽耶를 당시의 咸安이라고 하였다. 多羅는 경남 陜川지역에 있던 가야 소국으로 『三國史記』 권 34, 지리지 江陽郡조에 본래 大良(또는 耶)州郡인데 경덕왕 때에 이름을 바꾸었으며 지금의 陜州라고 하였다. 卓淳은 대개 오늘날의 大邱 부근으로 보아 왔으나 이를 경남 창원지방에 있던 가야 소국으로 보는 새로운 견해가 있다. 加羅는 경북 高靈지방에 있던 大加耶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7국 平定의 주체는 왜가 아니라 百濟軍의 가야지역에 대한 작전을 기록한 것으로, 이 때 가야 여러 나라는 백제의 세력권 속에 들어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註 003
古奚津 : 古奚는 『三國志』 東夷傳 馬韓조에 보이는 狗奚國으로서 오늘날의 전남 康津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으며, 또는 狗奚國을 전남 海南으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다.
註 004
忱彌多禮 : 應神天皇 8년조의 百濟記에도 보이는데 『隋書』 등에 耽羅로 기록된 오늘날의 제주도로 보는 견해가 있으며, 앞의 古奚津의 중심되는 부락으로서 康津 일대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註 005
貴須 : 近仇首王을 가리킨다.
註 006
4邑 : 4邑의 위치에 관해서는 대개 이를 전라도 지방으로 비정하고 있는데, 布彌支辟中은 각각 오늘날의 羅州와 寶城으로 비정되고 있으며 이는 백제 近肖古王(346 ~ 375)이 馬韓을 멸하여 전라도 남해안까지 영토를 확장한 것으로 이 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천관우는 比利 등 4읍을 比利·辟中·布彌·支半·古四의 5읍으로 읽어 이를 각각 扶安(保安)·金堤·井邑·扶安·井邑(古阜)에 비정하였다.
註 007
意流村 : 백제의 始祖 溫祚가 도읍을 정했던 尉禮城과 音이 비슷하므로 백제국의 聖地로서 王都 漢城을 지칭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註 008
辟支山 : 백제의 옛 지명으로 오늘날의 전북 김제로 비정된다. 『三國志』 魏志 東夷傳에 보이는 馬韓의 한 국가인 辟卑離國, 『南齊書』 百濟傳에 보이는 辟中, 『三國史記』에 보이는 辟城·碧骨과 같은 곳으로 짐작된다.
註 009
古沙山 : 『三國史記』 권 36, 地理志에 古阜郡을 본래 백제의 古眇(沙의 잘못인 듯)夫里郡이라 하였으므로 古沙山도 오늘날의 전북 古阜지방으로 비정하고 있다.
국가명
加耶
新羅
百濟
주제분류
정치>군사>전쟁>전투유형
정치>군사>전쟁>전후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