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보는 1919, 그날의 기록 》
간행사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2019년, 올해는 3•1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이 되는 해입니다. 1919년, 100년 전 그날 일본 제국주의의 압제에 저항하여 전국 곳곳에서 그리고 해외에서 독립 만세의 소리가 울려 퍼졌습니다. 일제의 탄압에 수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고 부상당했으며, 감옥에 갇혀 모진 시련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그 시련과 희생은 희망의 씨앗이 되어 곳곳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한국의 독립은 이 씨앗의 열매입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일제의 감시와 탄압 그리고 의도적인 은폐 작업으로 100년 전 그날의 실상은 상당수 감춰졌습니다. 우리는 100년이 지난 현재에도 3•1운동의 올바른 진상을 다 찾아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이에 2016년부터 4년 후인 2019년에 맞게 될 3•1운동 100주년을 전망하면서, 그날을 뜻 깊게 맞이 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 그 연구 작업을 진행해 왔습니다. 이 작업은 그동안 감춰지고 잊힌 100년 전 그날의 진실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부였습니다. 우리는 그 숨은 목소리를 찾고자 일제의 정보 보고 자료, 일제 검사국 문서, 법원 판결문,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료, 《독립신문》을 비롯한 신문 자료, 재한 선교사 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종합해 각처에서 일어난 만세 운동의 진실을 재구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어느덧 4년, 감춰졌던 퍼즐 조각들을 맞춰 가며 그날의 실상을 상당수 복원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국사편찬위원회만의 성과가 아니라 숨은 진실을 찾기 위한 역사학자들의 노력과 헌신, 사명감이 어우러진 결과였습니다. 그 노력의 성과를 모아 올해 2월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세상에 공개했습니다. 상당한 결실을 맺었지만, 아직도 갈 길은 멉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현재에도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는 계속 보완, 확충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이러한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에 담긴 성과를 일반 국민과 함께하고자 기획됐습니다.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는 기본적으로 역사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개별 사건과 자료를 확인하는 데에는 편리하나 비전문가가 보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이에 일반인도 쉽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할 수 있도록, 3•1운동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 주는 책자의 간행을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자는 종합편 한 책, 도별로 각 지역 3•1운동의 특성을 보여 주는 지역편 세 책, 3•1운동 당시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려주는 선언서•격문편 한 책 등 총 5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나아가는 길잡이이자, 그 자체로서도 의미 있는 연구 결과물입니다. 짧은 기간에 방대한 자료를 정리하는 데 애써 주신 전성현, 이애숙, 김도훈, 이송순, 정숭교 선생 께 감사드립니다. 그동안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만들고 자료집 발간을 위해 노력한 국사편찬위원회의 류준범 연구편찬정보화실장을 비롯한 직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이 지면을 빌려 국가기록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독립기념관, 연세대학교, 일본 시가현립대학교, 진관사 등 자료 제공에 협력해 주신 국내외 많은 기관에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무엇보다 이 모든 것의 기반이 되는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데 힘을 보태 주신 수많은 연구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격려와 믿음, 헌신 덕분에 이만큼 진전할 수 있었습니다. 3•1운동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진실이 많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그 숨은 진실을 찾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와 이 책이 100년 전 그날의 뜨거운 숨결을 함께 느끼며 힘찬 걸음을 내딛을 수 있는 작지만 굳센 디딤돌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2019. 12.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조광

책자 보기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보는 1919, 그날의 기록 》

제1권 종합편 (집필 : 전성현, 김도훈, 이애숙, 이송순)
제2권 서울 | 경기도 | 충청도 (집필 : 이송순)
제3권 경상도 | 전라도 | 강원도 (집필 : 전성현)
제4권 평안도 | 황해도 | 함경도 | 국외 (집필 : 이애숙, 김도훈)
제5권 선언서 | 격문 (집필, 현대역, 해설 : 정숭교)

본 책자는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3809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86 국사편찬위원회

COPYRIGHT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