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전국 각지에서, 국외에서 일어난 삼일운동은 너무나 거대했기 때문에 100주년을 맞이하는 현재까지 전체와 세부를 아우르는 총체적 실상을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많은 연구자와 지역 사회에서 삼일 운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여 하나하나의 퍼즐을 맞춰가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적인 퍼즐판의 밑그림은 완성되지 못한 상태입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삼일운동 연구를 심화하고 국민들의 삼일운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자 2016년부터 4년에 걸쳐 삼일운동 관련 기초 정보를 종합하고 GIS(지리정보체계)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습니다.
삼일운동 DB는 단순히 자료만을 모아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닙니다. 그동안 국사편찬위원회가 축적한 역사자료 정보화의 경험과 기술이 집약된 결과물이며, 많은 역사연구자들이 사명감을 갖고 협력하여 만든 고도의 연구 결과물이기도 합니다.
이제 삼일운동 DB를 통해 삼일운동 관련 자료를 누구나 쉽게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삼일운동 DB는 삼일운동 기초 자료*에서 27,729건의 정보를 추출하여 총 2,619건의 사건정보로 정리하였습니다. ( 2019.11.30.기준 )

DB의 정리 방식은 다음 문서를 참조 바랍니다.

- 3·1운동 DB로 추정한 3·1운동의 규모: 참여자 및 사망자 추계 /류준범(국사편찬위원회 연구편찬정보화실장)
   국사편찬위원회, 2019년 2월 27일,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회의 발표 자료

-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 류준범 (국사편찬위원회 연구편찬정보화실장)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의창(2019 상반기 통권 48호)", 48~53쪽

삼일운동 DB 데이터 정비 결과 정리된 수치이며 그 자체로 삼일운동의 전체 규모를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시점에서 자료 상에서 파악되는 수치를 정비한 것이며 자료의 발굴, 자료의 재해석, 연구의 진전 등에 따라 변동될 수밖에 없는 수치입니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 삼일운동의 전체적 규모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를 진전시켜 나가는 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합니다.

<표1>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대상 사료와 출처 정보

문서 건수 출처 정보 건수
소요사건관계서류 1,777 8,557
일본외무성기록(불령단관계) 983 3,216
도장관보고 693 1,501
경성지법검사국문서 2,934 3,915
삼일운동 관련 판결문 2,184 3,131
재한선교사자료 345 978
한일관계사료집 1 146
한국독립운동사략 17 307
매일신보 24,158 2,283
독립신문 2,372 1,493
신한민보 2,899 2,200
합계 38,363 27,729

( 2019.11.30.기준 )

[사건 정보]는 시위,철시,파업,휴학/휴교,계획,기타활동의 구분 아래,시간,행동양상,탄압양상,운동매체,운동주체 등 다양한 유형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표2>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의 유형별 사건 통계

구분 사건 건수
시위 1,798
철시 30
파업 6
휴학/휴교 65
계획 353
기타활동 367
합계 2,619

( 2019.11.30.기준 )

삼일운동 DB에 현재까지 구축된 정보를 모으면, 총 1,798건의 시위가 일어났으며 자료에 나타나는 참가자 수 데이터를 정비하면 82~106만 여명에 이릅니다. 또한 자료에 드러난 사망자만도 800~1,100여 명에 이릅니다.( 2019.11.30.기준 ). 이 수치는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위 사건으로 구분한 사건을 대상으로, 자료에 나타난 수치를 정비한 것입니다. 따라서 106만 여명이라는 수치는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에 확인되는 수치로서, 실제 참가자의 최소 수치에 가깝습니다. 실제 참가 인원은 이 수치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연구를 통해 실제 참가 인원의 규모가 보다 더 정확히 추계되리라 기대됩니다. 현재 제공되는 수치는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잘 활용하기 위해서, 그리고 향후 연구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참고로 제공되는 수치라는 점을 확인하고 해당 수치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삼일운동 시위 사건 기초 자료 소개

문서 건수 출처 정보 건수
소요사건관계서류 1,777 8,557
일본외무성기록(불령단관계) 983 3,216
도장관보고 693 1,501
경성지법검사국문서 2,934 3,915
삼일운동 관련 판결문 2,184 3,131
재한선교사자료 345 978
한일관계사료집 1 146
한국독립운동사략 17 307
매일신보 24,158 2,283
독립신문 2,372 1,493
신한민보 2,899 2,200
합계 38,363 27,729

3.1운동 당시 우리의 기록이 체계적으로 남아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당시 일제 식민 통치 아래 있던 시대적 상황으로 전체적인 3.1운동의 구체적인 양상과 그 피해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발간한 『한일관계사료집』에 실린 ‘독립운동일람표’에서도 삼일운동의 실상을 알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일제의 계엄으로 상세한 조사는 불가능했고, 모든 군, 면, 동에서 독립운동이 일어났으나 신문, 통신, 개인 소식 전달로 증거가 명확한 군만 기입하였고, 한 지역에서 14회 이상 운동을 거행한 곳도 있으나 모두 확인하여 싣기 어려워 1군에 1회씩 상세한 상황을 적었다”는 주의사항을 적고 있습니다.

아쉽지만 만세시위에 대해 가장 많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이 드러나는 자료가 일제 측 정보보고 자료와 재판관련(신문조서, 판결문) 자료라는 점을 먼저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은폐되고 축소, 왜곡된 일제 측의 자료에서 삼일 운동의 실체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성격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할 것입니다. 일제 측의 자료와 한국 측의 당대자료, 재한 선교사의 보고 문건와의 비교를 통해서 삼일 운동의 실상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제 측의 자료 내에서도 교차 분석을 통해서도 자료간의 균열, 정합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감춰진 진실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3ㆍ1운동 DB를 토대로 앞으로 연구자들은 3ㆍ1운동 기초 자료의 통합적 이용이 가능해 질 것입니다. 연구자가 기초 자료를 기반으로 다양한 주제로 관심을 확장하고 더욱 다양한 자료를 발굴·활용하여 연구를 심화·확장해 가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이용 안내

  • 시위정보페이지

    시위 정보는 개요, 사건 세부 장소, 참가자/사망자수 추정, 연관사건, 관련인물, 탄압기구 등 다양한 정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시위 세부 장소 페이지

    시위의 세부 장소는 GIS 서비스를 통해, 일제시기 지도와 현재의 지도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그밖에 다양한 부가정보

    그밖에도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군대, 경찰 탄압기구 데이터, 검사국자료·판결문 출처 인물 정보, 삼일운동 격문·선언서 자료 등은 삼일운동을 이해하는 폭을 넓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삼일운동 GIS 서비스

삼일운동 GIS는 베이스맵(지도 영상) 위에 행정구역(면-Polygon), 사건장소(점-Point) 등의 공간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 지리 정보는 1대 5만 축적으로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삼일운동 GIS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연구 참고용'이며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 베이스맵 구축 : ㈜ 지오투정보기술(2017년 최초 구축)

㈜ 환경과학기술(2018년 보완)

- 공간정보 구축 : 전종한, 이승렬, 김종혁, 박혜진, 최유식, 장기훈, 김희수, 김현종

(2018년도 삼일운동 시위사건 공간정보 DB구축 용역 수행팀)

- 공간DB 점검 및 정비 : 이홍구, 권영훈(환경과학기술)

1. 삼일운동 GIS 베이스맵(지도 영상)

1) 좌표계 : GRS80 타원체, UTM-K 좌표계(EPSG : 5179)

2) 현재 지도 : 국토지리정보원 제공 수치지도 오픈 API 사용

3) 1919년 당시 지도(래스터 이미지)

	* 1919년 이전 발행 도엽 중 1919년에 가장 가까운 시기에 발행한 1:50,000 축척의 ‘조선지형도’를 사용함.
	* 위에 해당하는 도엽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에 부합하는 지형도를 사용함.
	    ① 위와 같은 시기에 발행한 다른 축척(1:25,000 또는 1:200,000 등)의 지형도
	    ② 1:50,000 축척의 1919년 이후 발행분 중 1919년에 가장 가까운 시기에 제작한 지형도
	    ③ 도엽이나 등고선 등의 정보를 생략하여 제작한 ‘조선교통도’(1926년 제작)
	* ‘조선지형도’ 등 당시 지도에 사용한 도엽은 BESSEL TM 타원체 기준으로 제작되었으며, 삼일운동 베이스맵으로 제작하면서 GRS80 타원체 기준으로 변환함.
	* 사용된 도엽의 자세한 정보는 개방 데이터 셋을을 참고하시기 바람.
	  (삼일운동 GIS에 사용한 일제강점기 제작 도엽 목록)

2. 각종 정보 안내

아래 공간정보들은 WGS84(EPSG:4326) 좌표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지도에 표출할 때는 UTM-K(EPSG : 5179)로 변환하여 표출합니다.

1) 행정구역 layer

- 삼일운동 당시 일제가 구획한 행정구역에 대한 정보.

유형 Layer Type 참고사항
Polygon

* 행정구역 layer 정보는 행정구역 DB 정보에 기반하여 구축함.

* 1919년에 변경된 행정구역 처리

1) 황해도 황주군 겸이포면 : 반영.

(1919년 4월 1일, 송도면에서 겸이포면 분리)

2) 강원도 고성군 일대 : 미반영.

(1919년 5월 15일, ① 간성군에서 고성군으로 명칭 변경, ② 통천군 임남면 장전리, 주험리, 사호리, 남애리를 고성군 신북면으로 편입, ③ 간성군 죽왕면, 토성면을 양양군으로 편입.)

부 / 군

2) 삼일운동 사건장소 layer

- 삼일운동 당시 각종 사건이 일어났던 장소에 대한 정보.

유형 Layer Type 유형 해설
관공서 행정 Point 도․부․군청, 면사무소 등의 행정관서
경찰 경찰서, 경찰관주재소 등 경찰 관련 기관
헌병 헌병분대(분견소), 헌병주재소 등 헌병 관련 기관
기타 우편국(소), 법원(지청) 등 행정․군경 이외 기관
학교 각급 국․공․사립학교 및 교육기관
시장 상설시장, 5일장, 우시장 등 각종 장터
종교시설 천도교, 기독교 등 종교 관련 시설
마을_시가 동리 또는 마을 이름 등으로만 표현된 곳
자연지물 산, 하천 등 자연지형이나 기타 지물
기타 교통시설 철도역 등 교통 관련 시설
영역중앙점 자료에서 군, 면 명칭만 확인되는 장소
기타 왼쪽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는 장소

- 장소명 : 해당 세부장소의 명칭으로서 여러 출처자료에서 나오는 명칭을 종합한 대표명칭.

* 조선총독부관보, 직원록, 조선지지자료 등 지명 관련 자료를 기반으로 기입.(관공서, 학교, 교통시설, 시장, 행정지명 등)

* 공식적인 명칭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출처자료에 나오는 여러 명칭 중에서 해당 장소를 가장 잘 표현한 명칭을 판단하여 기입.

* 장소명으로 선정된 명칭 이외의 명칭은 이칭으로 처리.

- 위치 : 행정구역 DB를 기반으로 하여 위치값을 입력.

- 신뢰도의 기준과 단계별 장소 위치값(포인트) 설정방식.

단계 기준 포인트 설정방식
높음 베이스맵 상에 정확한 위치가 기호나 문자로 기입되어 있어 정확한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

* 기호(Symbol)로 표현된 경우에는 기호 중심에 포인트 설정.

* 문자(Leㅠel)로 표현된 경우에는 문자의 양쪽 끝의 연장선상 중 주소와 일치하는 촌락 또는 가옥밀집지, 도로인접지 등에 포인트 설정.

보통 동리 및 동리 주변의 자연지물 등의 정보 정도를 알 수 있는 경우

* 동리의 취락중심점 또는 자연지물이 표현된 곳에 포인트 설정.

낮음 면, 군 단위나 그 이상 장소 정보만 알 수 있는 등 특정할 수 있는 정보가 없는 경우

* 면 또는 군의 중앙점에 포인트 설정.

3) 삼일운동 당시 철도, 도로망 layer

- 삼일운동 당시 교통망 중 철도와 1,2등 도로에 대한 정보.

유형 Layer Type
철도역 Point
철도 Polyline
1등도로
2등도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분야토대연구지원사업, "한국근대전자역사지도편찬" 결과물(도로망, 철도망 데이터) (2011~2014, 전임연구인력 김종혁, 이송순, 연구책임자 정병욱)을 이용하여 제작.

삼일운동 DB를 함께 만든 사람들

2016년도 사업

1)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 7책 대상)
	- 출처 자료 1차 작성 : 박순섭, 박준현, 백정윤, 이승윤, 이양희, 최우석, 황이슬
	- 출처 자료 교정 : 은정태, 이계형, 양지선, 최홍준
	- 출처 자료 감수 : 이애숙
	- 공정 관리 : 김동애, 안병길, 박민서, 최정윤(이상 ㈜서울시스템)
	- 추출 데이터 최종 정비 : 이애숙, 김대호, 이홍구, 류준범(2017~2018)

2) 삼일운동 관련 판결문 목록화 연구 : 김진호
	※ 목록 정비, 판결문 연결 정보 작업 : 김대호, 이홍구 

3) 삼일운동 관련 재한선교사 보고 자료 목록화 연구 : 김승태
	※ 목록 정비 : 김대호, 이홍구

4) 삼일운동 시위정보 DB·공간데이터 DB 설계 및 웹서비스 방안 연구 : 김종혁, 조용욱
	※ 삼일운동 구축 사업용 관리 페이지 제작 : 조용욱, 김용아

5)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자문
	1차 : 김진호, 윤해동, 이정은, 장신
	2차 : 권보드래, 김도훈, 김주용, 김승태
	3차 : 권보드래, 김도훈, 김승태, 김진호, 윤해동, 이정은, 장신

6)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세부 시행 계획 작성 및 DB 설계 : 류준범

7) 2016년도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담당(국편) : 최재복, 류준범, 이홍구
				

2017년도 사업

1)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1 (일본 외무성기록 ‘불령단관계잡건’)
	- 출처 자료 1차 작성 : 이승윤, 김나아, 강미선, 황이슬
	- 출처 자료 교정 : 이양희, 양지선
	- 출처 자료 감수 : 박철하, 유상희
	- 추출 데이터 최종 정비 : 이애숙, 김대호, 이홍구, 류준범(2017~2018)

2)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2 (국편 소장 ‘도장관보고문서’ 자료)
	- 출처 자료 1차 작성 : 김국화, 이혜린, 박유진
	- 출처 자료 교정 : 최우석
	- 출처 자료 감수 : 박철하, 이송순 
	- 추출 데이터 최종 정비 : 김대호, 류준범(2017~2018)

3)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3 (국편 소장 경성지법 검사국 문서)
	- 출처 자료 1차 작성 : 주동빈, 이송순
	- 출처 자료 교정 : 정병욱
	- 출처 자료 감수, 데이터 정비 : 이애숙

4)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4 (판결문 자료)
	- 중북부 지역 판결문 자료 : 김진호, 김상기, 박경목, 이양희
	- 남부 지역 판결문 자료 : 전성현, 이가연, 하지영, 박민찬, 손현정
	- 판결문 출처 자료 감수 및 데이터 정비 : 이애숙

5)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5 (재한선교사 자료)
	- 김승태, 송현강, 옥성득
	※ 2018년 재한선교사 출처 자료 작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

7) 삼일운동 출처 자료 작업 공정 관리 : 김동애(㈜서울시스템)

8) 삼일운동 사건 DB 정규화와 분류 작업
	- 윤해동, 김도훈, 유은호, 은정태, 류준범

9) 삼일운동 시기 일제 탄압 기구 데이터 기초 작업
	- 조건, 김명환, 이민성

10) 삼일운동 시기 GIS 기반 공간 정보 기초 DB 구축
	- 삼일운동 시기 지형도 도엽 정비 : 이홍구
	- 삼일운동 시기 지형도 지오레퍼런싱 작업 및 행정구역 레이어 구축 : ㈜지오투정보기술 
	  우성진, 김철홍, 최기균, 신상현, 서춘상, 윤병기, 정동희, 정영락, 박해열, 최은영, 박진희

11) 삼일운동 DB 구축 사업 자문
	- 삼일운동 사건 DB 구축 자문 : 김승태, 김종혁, 김진호, 주성지
	- 삼일운동 공간정보 DB 구축 자문 : 김종혁, 김현종, 정요근, 장신

12) 삼일운동 DB 관리 : 류준범

13) 2017년도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담당(국편) : 김광재, 이홍구, 류준범
				

2018년도 사업

1)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1 (일본 외무성기록 ‘불령단관계잡건’ 및 경성지법 검사국 문서)
	- 출처 자료 1차 작성 : 김나아, 황이슬
	- 출처 자료 교정 : 이양희
	- 출처 자료 감수 : 이애숙
	- 데이터 정비 : 류준범

2)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2 (재한선교사 자료)
	- 출처 자료 작성 및 교정 : 유상희
	- 출처 자료 감수 및 데이터 정비 : 김대호

3)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3 (소요사건경과개람표, 조선소요사건일람표, 한일관계사료집)
	-  출처 자료 작성 : 김대호, 이홍구
	-  감수 및 데이터 정비 : 류준범

4) 삼일운동 선언서·격문 자료 DB 구축
	- 선언서·격문 자료 목록 작성 및 자료 수집·정리 : 김대호
	- 선언서·격문 자료 원문 입력 : 이세용, 김은영, 신동희
	- 선언서·격문 자료 현대어 번역 및 교정·교열 : 정숭교
	- 선언서·격문 메타데이터 정비 및 교열 : 하명준, 김대호

5) 삼일운동 관련 검사국 문서 전자사료관 연계용 메타데이터 작성 : 박경희, 신은영

6) 출처 자료 작업 및 선언서·격문 자료 DB 구축 공정 관리 : 김동애, 안병길, 박민서(㈜서울시스템)

7) 삼일운동 시기 일제 탄압 기구 데이터 정비 : 김동애, 류준범
	※ 2017년도 조건 연구팀 연구 결과를 기초로 기구별 데이터 정비 작업
	※ 탄압기구 사건정보 매핑 작업 : 서일수

8) 삼일운동 사건 DB 분류 작업 : 윤해동, 류준범

9) 삼일운동 참여 인물 데이터 추출 및 정비 : 신동희, 김동애, 김대호, 이홍구
	※ 판결문 자료 및 경성지법 검사국 신문조서 자료 대상

10) 삼일운동 세부장소 GIS 기반 공간 데이터 구축 
	- 김종혁, 박혜진, 최유식, 장기훈, 김희수, 김현종, 이승렬, 전종한

11) 삼일운동 사건 단위 제목 작성 및 개요 집필
	- 독립선언식 준비 과정 및 평안·황해 지역 삼일운동 : 이애숙
	- 경기(서울 포함) 지역 삼일운동 : 허영란
	- 경상·전라 지역 삼일운동 : 전성현
	- 충청·강원·함경 지역 삼일운동 : 김진호
	- 국외 지역 삼일운동 : 김도훈

12) 삼일운동 세부장소 및 행정구역 공간 데이터 점검·정비 : 이홍구, 권영훈

13) 삼일운동 DB 관리 및 사건 DB 참여자 수 및 사망자 수 데이터 정비 : 류준범

14) 삼일운동 DB 웹 서비스 시스템 개발
	- ㈜환경과학기술 컨소시엄
	- 시스템 개발 : 권규택, 권영훈, 이한결, 심상진, 김민호, 박종천, 김대욱
	- 웹 페이지 및 인포그래픽 디자인 : 오상휴, 정솔, 김희찬

15)  2018년도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담당(국편) : 류준범, 김대호, 이홍구
					

2019년도 사업

1)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1 (매일신보, 독립신문, 신한민보)
	- 출처 자료 작성, 교정 : 김진호
	- 서지 목록 정비 : 김동애, 김대호
	- 감수 및 데이터 정비 : 류준범, 김대호, 이홍구

2)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2 (미국영사관, 영국영사관 문서)
	- 출처 자료 작성(미국영사관) : 김태현, 이휘현
	- 출처 자료 작성(영국영사관) : 윤서인
	- 출처자료 감수 : 이애숙
	- 서지 목록 정비 : 김동애, 이홍구, 김대호
	- 데이터 정비 : 김대호, 이홍구

3) 삼일운동 선언서·격문 자료 DB 구축(추가)
	- 선언서·격문 자료 목록 작성 및 자료 수집·정리 : 김대호, 정숭교
	- 선언서·격문 자료 원문 입력, 태깅 작업 : 김동애, 문성학
	- 선언서·격문 자료 현대어 번역 및 교정·교열 : 정숭교
	- 선언서·격문 메타데이터 정비 및 교열 : 하명준, 김대호

4) 삼일운동 관련 영사관 문서 전자사료관 연계 : 이현진, 이홍구
※ 삼일운동 사료별 출처 자료 작업 2(미국영사관, 영국영사관 문서)를 기초로 작업

5) 출처 자료 작업 및 선언서·격문 자료 DB 구축 공정 관리 : 김동애, 안병길, 최형권(㈜스템위드)

6) 삼일운동 DB 관리 및 사건 DB 참여자 수 및 사망자 수 데이터 정비 : 류준범

7) 삼일운동 신규 사건 단위 제목 및 개요, 신규 장소 공간데이터 보완 : 김대호, 이홍구
※ 기구축 GIS 기반 공간 데이터 참조, 신규 작성

8) 삼일운동 세부장소 및 행정구역 공간 데이터 점검·정비 : 이홍구, 권영훈

9) 삼일운동 DB 웹 서비스 시스템 개선
	- ㈜에스제이엠앤씨
	- 시스템 개발 : 권규택, 권영훈, 윤정환, 나윤영, 정인엽, 이윤수, 하세희
	- 웹 페이지 및 인포그래픽 디자인 : 정지수, 이다솔

10) 삼일운동 기념 책자 간행
	- 필자 : 전성현, 이애숙, 김도훈, 이송순, 정숭교
	- 편집·디자인 : 청아출판사 홍은아, 김동은, 임혜진, 이보라, 이원진, 조현경, 조은선

삼일운동 1차 사료의 정보를 추출하여 출처 자료와 삼일운동 사건DB를 정비하기까지
데이터의 질을 확보하는 데 4년에 걸쳐 이애숙의 커다란 공헌이 있었음을 밝혀 둔다.
					

자료 제공 기관

국가기록원, 국토지리정보원, 독립기념관, 연세대학교이승만연구원, 일본시가현립대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진관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등 많은 기관에서 협력해 주셨습니다.

구분 자료 제공 기관 제공 자료 이용 유의 사항(연구용)
판결문 국가기록원 판결문 원문 이미지 - 이미지 열람 가능
- 기록물 위변조 금지
- 자료 이용 시 원자료의 소장처 표기
신문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독립신문 기사정보, 이미지 연결정보 - 이미지 열람 가능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독립신문 서비스로 제공
- 자료의 이용은 소장처 기준에 따름
GIS 서비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일제강점기 지형도
- 삼일운동 GIS서비스 일제시기 배경 지도(부분 활용). 열람 가능
- 자료 이용 시 원자료의 소장처 표기
한국학분야토대연구지원사업, "한국근대전자역사지도편찬" 결과물(도로망, 철도망 데이터) (2011~2014, 전임연구인력 김종혁, 이송순, 연구책임자 정병욱) - 삼일운동 GIS서비스 도로망, 철도망. 열람, 인쇄 가능
- 자료 이용시 원자료의 소장처 및 연구과제(연구자) 표기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지리정보원 소장 일제강점기 지형도 - 삼일운동 GIS서비스 배경 지도(부분 활용) 열람 가능
- 자료 이용 시 원자료의 소장처 표기
국토정보플랫폼 오픈API - 삼일운동 GIS서비스 현대 베이스맵에 이용
선언서, 격문 연세대학교이승만연구원 우남이승만문서 중 선언서, 격문류 이미지 (총 42종) - 이미지의 열람, 인쇄, 다운로드 가능.
- 자료 이용 시 원자료의 소장처 및 제공처 표기
일본 시가현립대학 도서정보센터 朴慶植文庫)獨立宣言書及其他ノ檄文
독립기념관 선언서류(총 18종, 국가지정기록물 제12호 포함) - 이미지의 열람 가능
- 자료 이용 시 원자료의 소장처 표기
진관사 진관사 소장 태극기 및 독립신문류
(6종 21점, 국가등록문화재 제458호)
- 이미지의 열람 가능
- 자료 이용 시 원자료의 소장처 표기

* 출판 및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원소장기관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13809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86 국사편찬위원회

COPYRIGHT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