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김유신처이씨묘지명 (金有臣妻李氏墓誌銘)
[01] [李]一娘墓誌銘
[02] 娘原州人曾王父自春追封檢[校]少府少監王父揆檢校▨▨
[03] 父彦章擢進士第累加殿中內給事同正母元氏及第▨▨
[04] 也延明以處士家居家富好施▨ 校勘 001皆賢之娘▨ 校勘 002 校勘 003弟五人▨ 校勘 004
[05] 仲騏仲驎其弟仲驄並中國▨ 校勘 005試弟勝林▨▨ 校勘 006有學行▨ 校勘 007
[06] 季克和皆先娘死弟仲和不求斈 校勘 008 校勘 009 校勘 010 校勘 011釋學醇醇如也其
[07] 行次在娘与 校勘 012勝林間今獨存▨娘年十八以庚申歲嫁春坊公▨ 校勘 013
[08] 金有臣有臣越戊庚 校勘 014歲通判郭州及癸未 校勘 015而卒娘守義寡居自
[09] ▨ 校勘 016歸心佛赦 校勘 017▨▨人長短旣嫁長讀小彌陁經華嚴普賢品千手
[10] 陁羅▨ 校勘 018▨▨今 校勘 019歲不食午後食每十齋日食捨肉以生淨土爲誓
[11] ▨有男光祖年若干以詩賦試於國子監[升]名壯頭及甲辰歲爲
[12] 衿州監務以淸政[聞]女爲供驛令崔敦義継 校勘 020室娘從之以居京
[13] 城中以今明昌三年壬子九月感 校勘 021微疾至十五日沐浴改衣裳口念
[14] 西方▨ 校勘 022而逝以十月十五日葬于城東小梓旀 校勘 023山南麓光祖曾從予
[15] 學時在原州聞訃將奔略具行迹屬予曰旣至卽葬請銘之
[16] 乃爲
[17] 銘曰從一而終女子之美而娘能守義七十之年古所難有而娘
[18] 登此壽人之將死心懷倒顚而娘去翛然娘乎娘乎
[19] ▨▨▨ 校勘 024示於無疆乎

▨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2쪽 隣.
▨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2쪽 有.
▨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2쪽 兄.
▨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2쪽 兄.
▨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3쪽 子.
▨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3쪽 度.
▨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3쪽 及.
斈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3쪽 學.
▨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3쪽 然.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3쪽 好.
: 『추보』 185쪽, 『전문』 908쪽, 『집성』 273쪽 儒.
与 : 『전문』 908쪽 與.
▨ : 『추보』 185쪽, 『집성』 273쪽 子.
庚 : 『집성』 273쪽 辰.
未 : 『추보』 185쪽, 『전문』 909쪽 末.
▨ : 『추보』 185쪽, 『전문』 909쪽, 『집성』 273쪽 少.
旀 : 『추보』 185쪽, 『전문』 909쪽 ▨, 『집성』 273쪽 敎.
▨ : 『집성』 273쪽 尼.
今 : 『추보』 185쪽, 『전문』 909쪽 ▨, 『집성』 273쪽 全.
継 : 『전문』 909쪽 繼.
感 : 『전문』 909쪽 누락.
▨ : 『추보』 185쪽, 『집성』 273쪽 仏.
旀 : 『추보』 185쪽, 『전문』 909쪽 ▨.
▨ : 『추보』 185쪽, 『전문』 909쪽, 『집성』 273쪽 傳.
李一娘墓誌銘
娘原州人. 曾王父自春追封檢校少府少監, 王父揆檢校▨▨, 父彦章擢進士第, 累加殿中內給事同正. 母元氏及第▨▨也. 延明以處士家居, 家富好施▨, 皆賢之.
娘▨▨弟五人, ▨仲騏·仲驎, 其弟仲驄, 竝中國▨試. 弟勝林▨▨有學行, ▨其季克和, 皆先娘死. 弟仲和不求學, ▨▨儒釋學, 醇醇如也. 其行次在娘與勝林間, 今獨存▨.
娘年十八以庚申歲, 嫁春坊公▨金有臣. 有臣, 越戊庚歲, 通判郭州, 及癸未而卒. 娘守義寡居. 自▨歸心佛赦▨▨人長短, 旣嫁, 長讀小彌陁經·華嚴·普賢品千手陁羅▨▨. ▨今歲, 不食午後食, 每十齋日, 食捨肉以生淨土爲誓.
▨有男光祖, 年若干, 以詩賦試於國子監, 升名壯頭. 及甲辰歲, 爲衿州監務, 以淸政聞. 女爲供驛令崔敦義繼室, 娘從之以居京城中.
以今明昌三年壬子九月, 感微疾, 至十五日, 沐浴改衣裳, 口念西方▨而逝, 以十月十五日, 葬于城東小梓旀山南麓.
光祖曾從予學, 時在原州聞訃將奔, 略具行迹, 屬予曰“旣至卽葬, 請銘之.”
乃爲銘曰. 從一而終, 女子之美, 而娘能守義. 七十之年, 古所難有, 而娘登此壽. 人之將死, 心懷倒顚, 而娘去翛然. 娘乎娘乎! ▨▨▨示於無疆乎

이일랑(李一娘) 묘지명(墓誌銘)
낭(娘)은 원주(原州) 사람이다. 증조할아버지 이자춘(李自春)은 검교소부소감(檢校少府少監)으로 추봉(追封)되었고, 할아버지 이규(李揆)는 검교▨▨(檢校▨▨)이며, 아버지 이언장(李彦章)은 진사제(進士第)에 발탁되었다가 누차 더해져 전중내급사동정(殿中內給事同正)이었다. 어머니 원씨(元氏)는 급제(及第) ▨▨이다. 연명(延明)은 처사로서 집에 있었는데, 집이 부유하여 ▨을 베풀기를 좋아하니 모두 그를 어질다 하였다.
낭은 ▨제(▨第) 5명이 ▨, ▨ 이중기(李仲騏)와 이중린(李仲驎)이고 그 동생은 이중총(李仲驄)으로 나란히 국▨시(國▨試)에 합격하였다. 동생 이승림(李勝林)은 ▨▨하고 학행이 있었으나 막내 이극화(李克和)와 ▨ 모두 낭보다 앞서 죽었다. 동생 이중화(李仲和)는 배움을 구하지 않고 유학과 불교[儒釋學]를 ▨▨, 순박한 듯하였다. 그의 항렬은 낭과 이승림의 사이에 있는데 지금은 홀로 ▨ 있다.
낭의 나이 18세인 경신년(인종 18년, 1140)에 춘방공▨(春坊公▨) 김유신(金有臣)과 혼인하였다. 김유신은 무경년(무진년, 의종 2년, 1148)에 곽주통판(通判郭州)이었으며 계미년(의종 17년, 1163)에 이르러 돌아가셨다. 낭은 의리를 지키며 과부로 지냈다. ▨부터 마음을 부처님께 돌려 赦▨▨人長短, 혼인한 이후에는 『소미타경(小彌陁經)』, 『화엄경(華嚴)』, 『보현품(普賢品)』, 『천수다라▨▨(千手陁羅▨▨)』을 오래도록 읽었다. ▨금년(▨今歲) 오후 식사를 하지 않았고, 매번 십재일(十齋日)에 고기를 먹지 않고 정토에서 태어날 것을 맹세하였다.
▨ 아들 김광조(金光祖)를 두었는데, 어린 나이에 시부(詩賦)로 국자감(國子監)에서 시험하여 이름이 장원[壯頭]에 올랐다. 갑진년(명종 14년, 1184)에 이르러서는 금주감무(衿州監務)가 되어 청렴한 정사로 보고되었다. 딸은 공역령(供驛令) 최돈의(崔敦義)의 계실(繼室)이 되었는데, 낭은 그를 따라 개경[京城] 안에서 살았다.
올해 명창(明昌) 3년 임자년(명종 22년, 1192) 9월에 경미한 병이 들었다. 15일에 이르러 목욕하고 의상을 고쳐 입고서 입으로 서방▨(西方▨)를 외우다가 떠나시니, 10월 15일에 성 동쪽 소재며산(小梓旀山) 남쪽 기슭에서 장사지냈다.
김광조는 일찍이 나를 따라 공부하였는데, 이때 원주(原州)에 있다가 부음을 듣고 달려와서 대략 행적(行迹)을 갖추어 나에게 부탁하기를, “〈선생님이〉 오시면 장사를 지내려고 하니, 청컨대 명을 지어주십시오.”라고 하였다.
이에 명(銘)을 지어 이른다.
한 사람을 따르다가 〈삶을〉 마치는 것은 여자의 아름다움인데
낭은 의리를 잘 지켰도다.
70의 나이는 예로부터 누리기 어려운 것인데
낭은 이러한 수명에 올랐도다.
사람이 죽을 때 심회(心懷)가 뒤집어지는데
낭은 홀연히 떠나셨도다.
낭이여, 낭이여! ▨▨▨ 끝이 없음을 보이는구나.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고려시대 금석문·문자자료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