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최세보 등을 임명하다
일자
1190년 12월 미상 (음)
○최세보(崔世輔)를 특진 수태사(特進 守太師)로, 두경승(杜景升)을 수태위(守太尉)로, 이의민(李義旼)을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로, 박순필(朴純弼)을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삼고, 사정유(史正儒)를 수사공 좌복야 참지정사(守司空 左僕射 參知政事)로, 이혁유(李奕蕤)를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이지명(李知命)을 태자소부(太子少傅)로 삼았으며, 백임지(白任至)를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로 삼았다. 이에 앞서 문하성의 재신[省宰]이 증원되어 7명에 이르렀다. 당시 논의가 옛 제도가 아니라고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다시 증원하여 8명으로 하였다. 항간에서 노래하기를, “황국(皇國)에 실제로는 절이 없는데, 문하성[省]에는 7재(齋)를 두었네, 7재도 지금 아직 완성이 되지 않았는데, 8재가 다시 들어오네.”라고 하였다. 대개 재(宰)와 재(齋)의 소리가 서로 비슷하니 은어[廋辭]를 만들어서 이를 기롱한 것이었다.
디지털역사자료 인용방법
닫기
1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 URL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http://db.history.go.kr/id/sa_001_0030_0020 (accessed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http://db.history.go.kr/id/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2안
저자, 기사명, 자료명.(사이트명, URL, ID, 검색날짜)
주)1 황현, “高宗三十二年乙未”, ≪매천야록≫(한국사료총서 제1권, 197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sa_001_0030_0020, 2007. 09. 03)

주)2 “日陸戰隊撤退는 南北戰으로 中止? 今回 半數만 交代”, ≪동아일보≫ 1928년 3월 1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www.history.go.kr, np_da_1928_03_19_0030, accessed 2007. 09. 03)
오류신고
닫기
사이트 하단의 ‘오류신고 확인’ 메뉴를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류유형: 오자·탈자, 링크 오류, 이미지 오류, 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료명
고려사절요
자료위치
자료상세화면
캡차 이미지